엔비디아, ‘오노토머스 그랜드 챌린지’ 3년 연속 수상…자율주행 기술력 입증

by newsit posted Jun 17, 2025
Extra Form
참조#1 https://github.com/autonomousvision/navsim
참조#2 https://research.nvidia.com/labs/av-applied-research/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대규모 엔드--엔드 드라이빙 부문 2년 연속 1, 오토노머스 그랜드 챌린지 3년 연속 수상

- 안전성과 범용성 겸비한 일반화 경로 점수화 기법 ‘GTRS’ 선보여

- 자율주행, 헬스케어, 로보틱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60편 이상 논문 채택

 

엔비디아, CVPR서 3년 연속 수상…자율주행 기술력 입증.jpg

 

 

엔비디아가 미국 테네시 내슈빌에서 열린 컴퓨터 비전 및 패턴 인식 분야 국제 학술대회 ‘CVPR(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에서 오토노머스 그랜드 챌린지(Autonomous Grand Challenge) 우승자로 선정됐다. 이번 수상 결과는 ‘차세대 자율 시스템을 위한 구현 인텔리전스(Embodied Intelligence for Autonomous Systems on the Horizon)’ 워크숍에서 발표됐다.

 

이로써 엔비디아(NVIDIA)는 CVPR에서 ‘대규모 엔드-투-엔드 드라이빙(End-to-End Driving at Scale)’ 부문 2년 연속 1위를 차지했으며, 오토노머스 그랜드 챌리지에서 3년 연속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올해 챌린지는 데이터 기반 비반응형 자율주행차(AV)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인 NAVSIM v2를 활용해 ‘범용화 가능한 구현 시스템(Towards Generalizable Embodied Systems)’을 주제로 진행됐다.

 

이번 챌린지는 실제 인간 주행 데이터에만 의존하지 않고,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응하는 다양한 방법을 탐색하도록 했다. 이는 연구진들에게 더 똑똑하고 안전한 자율주행차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안전하고 적응력 있는 주행 경로 생성

챌린지 참가자들은 준반응형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다중 센서 데이터를 활용해 주행 경로를 생성하는 과제를 수행했다. 이 환경은 주행 주체 차량의 주행 계획이 시작 시점에 고정되지만, 주변 교통 상황은 동적으로 변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출품작은 실제 또는 가상 시나리오에서 안전성, 편안함, 규정 준수, 범용성 등을 측정하는 확장 예측 운전자 모델 점수(Extended Predictive Driver Model Score)를 기준으로 평가됐다. 이를 통해 더욱 견고하고 범용적인 자율주행 기술 연구의 한계를 넓혔다.

 

엔비디아 자율주행 응용 연구팀(AV Applied Research Team)의 핵심 혁신은 다양한 주행 경로를 생성한 뒤, 점진적으로 최적의 경로를 선별해내는 일반화 경로 점수화(Generalized Trajectory Scoring) 기법이었다.

 

GTRS 모델 아키텍처는 확산, 어휘 기반 주행 경로를 활용해 다양한 주행 경로를 생성하고 점수화하는 통합 시스템을 보여준다.jpg

GTRS는 다양한 상황을 포괄하는 거시적 경로 집합과 안전이 중요한 상황에 특화된 정밀 경로를 결합해 도입했다. 이 경로들은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 조정되는 확산 정책을 통해 생성된다. 이후 GTRS는 인지 기반 평가 지표로부터 지식을 추출해 학습한 트랜스포머 디코더를 활용해 안전성, 편안함, 교통 규칙 준수에 중점을 두고 주행 경로 후보들을 점진적으로 선별한다. 이 디코더는 유사한 경로 간의 미세하지만 중요한 차이를 포착함으로써 가장 유망한 경로를 걸러낸다.

 

이 시스템은 광범위한 주행 시나리오에서 우수한 범용성을 입증했으며, 까다로운 벤치마크에서 최고 수준의 성과를 달성했다. 또한, 다양한 주행 조건에서도 견고하고 적응력 있는 경로 선택을 가능하게 했다.

 

CVPR 속 엔비디아 자율주행 연구 성과

이번 CVPR 2025에서 엔비디아 논문 60편 이상이 채택됐으며, 자율주행, 헬스케어, 로보틱스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른다. 엔비디아의 연구진들은 자율주행 분야에서 인지, 계획, 데이터 생성 분야의 혁신을 통해 물리 AI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다. 특히 올해는 엔비디아 논문 3편이 최우수 논문상(Best Paper Award) 후보로 지명됐다. 해당 논문은 ‘파운데이션스테레오(FoundationStereo)’, ‘제로-샷 모노큘러 씬 플로우(Zero-Shot Monocular Scene Flow)’, ‘디픽스3D+(Difix3D+)’이다.

 

이외에도 엔비디아는 자율주행차의 안전성과 범용성을 높이는 핵심 기술 분야에서 획기적인 성과를 발표했다. 여기에는 스테레오 심도 추정, 단안 카메라 기반 동작 이해, 3D 재구성, 폐쇄 루프 계획, 비전 언어 모델링, 생성형 시뮬레이션 등이 포함된다.

 

#엔비디아#자율주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