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냅소프트, '공공정보화 리더스 포럼 2025'에서 HWP 문서 기반 RAG 활용 방안 제시

by newsit posted Jul 25, 2025
Extra Form
참조#1 https://www.synapsoft.co.kr/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같은 LLM, 다른 결과: 공공문서(HWP) 효과적으로 RAG에 활용하는 방법" 발표
- 현직 공공기관 정보화 담당자 200명 대상 온라인 세미나에서 높은 관심

 

사이냅소프트, ',공공정보화 리더스 포럼 2025',에서 HWP 문서 기반 RAG 활용 방안 제시.png



사이냅소프트는 '2025 공공정보화 리더스 포럼'에 참여하여 "같은 LLM, 다른 결과: 공공문서(HWP) 효과적으로 RAG에 활용하는 방법"을 주제로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전자신문과 한국IT서비스산업협회가 공동 주최하고, 공공정보화협의회, 정부정보화협의회 등이 후원한 행사로, 현직 재직 중인 정부부처, 공공기관, 지자체 정보화 담당자만을 대상으로 한 전문 세미나였다.

포럼에서는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의 '업무 및 추진 정보화사업 소개'를 시작으로, 모두싸인의 '공공기관 AX/DX를 위한 전자서명·AI문서 관리서비스', 그리고 사이냅소프트의 'HWP 문서 RAG 활용 방안'이 차례로 발표되었다.

특히 사이냅소프트의 발표는 공공기관이 실제 직면하고 있는 한글 문서 처리 문제에 대한 구체적 해법을 제시하여 참석자들의 집중적인 관심을 받았다.

포럼에서 제시된 자료에 따르면, 2025년 공공기관의 생성형 AI 사업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202412개월간 나라장터에 등록된 '생성형' 포함 AI 입찰 공고가 87개였던 것에 비해, 2025년은 6개월만에 71개가 등록되어 721일 기준 누적 93개에 달한다.

이러한 배경에는 정부의 'AX(AI 전환)' 정책이 있다. 공공데이터 활용 정책(2013~) 디지털 플랫폼 정부(2022~) 소버린 AI 등 국가 AI 전략(2025~)으로 이어지는 정책 흐름 속에서, 2025년 정부 부처 합동 AI 예산만 4조 원 이상이 책정되었다.

발표에서 가장 강조된 부분은 문서 구조 정보 손실이 RAG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다. 같은 LLM을 사용하더라도 입력 데이터의 품질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가 나타나는 근본적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사이냅소프트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25년간 축적된 문서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한 '사이냅 도큐애널라이저'를 소개했다. 사이냅 도큐애널라이저는 HWP/HWPX 원본 문서를 직접 분석하여 문서의 구조와 내용을 AI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기술이다.

사이냅소프트는 문서 전처리부터 RAG 구성, LLM 서비스까지를 아우르는 '사이냅 어시스턴트' 패키지도 함께 소개했다. 또한, 사이냅 어시스턴트를 활용한 실제 구축 사례로 'DartPoint AI'(dartpoint.ai)를 소개했다. 전자공시 이해서비스로, 기업 분석, 재무 분석, 공시 검색 에이전트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시 기반 기업 정보를 제공하는 베타 서비스다.

사이냅소프트는 공공기관의 AI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이냅소프트 관계자는 "공공기관이 보유한 방대한 한글 문서 자산을 효과적으로 AI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국가 인공지능 전환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사이냅소프트#HWP#RAG#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