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용 DB 기반 온라인 통합몰 서비스를 오픈소스 기반 EDB Postgres로 손쉽게 전환
- EDB 코리아와 파트너의 전략 및 최적화 수행으로 성공적 프로젝트 완료
- 서비스 별 DB 분리 및 읽기전용 DB를 통한 분산 처리로 대규모 트래픽 안정성 강화
- EPAS 전환 후 획기적 비용 절감, 카프카 및 컨테이너 연동으로 MSA 구축

오픈소스 PostgreSQL의 최대 지원 기업 EDB는 오늘 교보문고가 오픈소스 DBMS 기반 MSA구축을 위해 EDB의 ‘포스트그레스 어드밴스드 서버(EDB Postgres Advanced Server)‘ 를 도입했다고 밝혔다
교보문고는 대한민국 1위의 대형서점으로 인터넷, 모바일, 오프라인, E-Book 서점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교보문고 IT본부는 송도 교보 데이터센터의 안정적 인프라와 AWS 클라우드의 확장성을 모두 갖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 MSA 기반 전략과 서비스를 적용하고 있다.
클라우드, 컨테이너, 오픈소스 DBMS, NoSQL 운영과 개발은 이미 기본이 되었으며, 최상위 관리자부터 막내 개발자까지 기술과 전략을 쉽게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체계를 통해 DevOps, SRE(Site Reliability Engineering) 프로세스와 문화를 확대하고 있다. 또한 , Serverless Development, IaaC(Infra As A Code), Risk Management Automation 등의 도전적인 과제들을 지속 적용 중이다.
교보문고, 오픈소스 DBMS 기반 MSA 구축…온오프라인 서비스 개선
교보문고는 디지털전환(DT) 전략에 따라 온라인통합몰 고도화를 수행했으며 클라우드, 컨테이너(Container), 오픈소스 DBMS 적용으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를 구축하여 개발 생산성과 대규모 트래픽 안정성, 그리고 상품 검색 속도 등을 강화하여 온오프라인 고객 서비스 개선에 나섰다.
교보문고는 기존에 사용했던 Oracle, MS-SQL, Sybase, MySQL 등의 DBMS 대비 비용 절감, 복제 및 확장성 강화, 상용 DBMS SQL 호환, 컨테이너 및 KAFKA 등 최신 기술 지원 등을 기준으로 다수의 글로벌 기업들이 도입하여 안전성과 신뢰성을 검증 받은 데이터관리시스템(DBMS)들을 면밀히 비교 검토하였다.
최종적으로 상용 DBMS와 동일한 안정성을 제공하고, 단순/복잡 SQL 모두 만족스러운 성능을 보증하며, Oracle SQL과 95% 이상 호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 데이터 복제를 제공하는 엔터프라이즈DB(EDB)의 오픈소스 기반 데이터관리시스템(DBMS)인 ‘EDB 포스트그레스 어드밴스드 서버(EPAS)’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교보문고 IT인프라팀 박성진 팀장은 “교보문고는 최적의 성능과 안정성을 제공하고, 신속한 데이터 복제와 분산이 가능하며, 카프카(Confluent Kafka, 실시간으로 기록 스트림을 게시, 구독, 저장 및 처리할 수 있는 분산형 데이터 스트리밍 플랫폼)와 컨테이너 등 최신 기능 적용으로 MSA 구축에 적합한 DBMS 도입을 검토했다”고 밝히고, “안정적인 성능으로 기존 DBMS 이전은 물론, 신규 서비스 구축에도 높은 확장성과 호환성을 제공하고, 글로벌 수준 서비스 체계를 갖춘 ‘EDB 포스트그레스 어드밴스드 서버(EPAS)’를 선택했다”고 덧붙였다.
EDB는 교보문고 EPAS 구축 시 관련 제품 활용 교육은 물론, 성능 최적화, 데이터 이전, 설정 최적화, 시스템 안정화 단계까지 사업 전반에 걸쳐 협력하여 유통 분야에 오픈소스 기반 DBMS 전환의 성공적인 모델을 추가하게 되었다.
EPAS 도입으로 기존 DBMS를 클라우드로 이전, 통합 관리를 통해 안정성과 확장성 보장
교보문고는 현재 인터넷교보문고, 모바일교보문고, 디지털교보문고, 웹소설 플랫폼 ‘톡소다’, 검색 등 주요 온라인 서비스 대부분에 EDB의 ‘EDB 포스트그레스 어드밴스드 서버(EPAS)’를 도입하였다. 이를 통해 교보문고는 신규 서비스를 유연하게 도입할 수 있는 클라우드의 확장성과 온프레미스의 합리성을 모두 갖추게 되었다.
무엇보다 교보문고는 EDB로 전환하여 IT예산 중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DBMS 유지 비용의 상당부분을 절감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에 사용했던 Oracle, MS-SQL, Sybase, MySQL 등의 DBMS를 EPAS로 통합 관리하고 운영 편의성을 높여 개발자와 운영자 모두의 만족도를 높였다. 이를 통해 절감된 IT 리소스와 비용을 새로운 전략적 이니셔티브에 재배치할 수 있게 되었다.
교보문고는 EDB EPAS의 온라인 인덱스 기능으로 서비스 중 경합없이 SQL 최적화를 24시간 365일 수행 중이며, 메모리에 테이블의 데이터를 명시적으로 상주시켜 성능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있다. DBMS 운영 시 가장 큰 부하가 발생하는 조회 서비스의 안정적 제공을 위해, 고속 복제(Replication) 기능으로 읽기전용 DB 구축과 확장을 수행했다. 이를 통해 인터넷/모바일 교보문고의 프로모션, 한정상품 판매, 유명 연예인들의 음반, 서적, 영상집 발매 등 접속자가 폭증하는 경우에도 지연이나 성능 저하가 발생하지 않으며, 스케일 아웃(Scale Out)을 통해 대규모 부하에도 서비스 가용성을 확보하게 되었다.
또한 카프카(Confluent Kafka, 실시간으로 기록 스트림을 게시, 구독, 저장 및 처리할 수 있는 분산형 데이터 스트리밍 플랫폼)를 EDB에 국내 최초로 연동하여 안정적으로 운영 중이며, 데이터 생성부터 분석 및 시각화 에 이르기까지 생애주기에 따른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게 되었고, 서비스 별 DBMS 분리를 통해 MSA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한편 교보문고는 부분 인덱스(Partial Index) 기능을 사용하여 인덱스에 조회 SQL의 WHERE 조건을 명시적으로 추가하여 복잡한 SQL 최적화를 손쉽게 수행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수십 GB의 데이터를 읽기 전용 DB와 카프카 동시 복제 시에도 기준 속도를 만족하도록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더불어 EDB로부터 연중무휴로 15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한 국내외 PostgreSQL 전문 엔지니어가 제공하는 마이그레이션, 운영, 최적화, 실행 전략 등에 대한 종합적인 글로벌 서비스를 지원받아 서비스 품질을 향상 시키고 있다.
향후 교보문고는 온라인 서비스 외에도 다양한 내외부 서비스 구축 시 EDB의 EPAS로 표준화하여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