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플레어, 2024년 ‘아태지역 사이버 보안 준비성 보고서’ 발표…“AI 기반 데이터 침해 사고 증가 할 것”

by newsit posted Sep 12, 2024
Extra Form
참조#1 http://cloudflare.com/connectivity-cloud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사이버 보안 리더의 82%, AI가 침해의 정교함과 심각성을 증가시킬 것

 

[클라우드플레어] 2024년 아태지역 사이버 보안 준비성 보고서_한국 인포그래픽_1.jpg

클라우드플레어(Cloudflare)가 아태지역의 사이버 보안 현황을 집중 조명한 <새로운 보안 환경 탐색: 아태지역 사이버 보안 준비성 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해당 보고서는 한국을 포함한 아태 지역의 사이버 보안 대비 현황에 대한 최신 데이터를 제공하며, 조직이 랜섬웨어, 침해, AI로 인한 복잡성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등에 대해 상세히 다루고 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 응답자의 82%AI가 데이터 침해의 정교함과 심각성을 증가시킬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9%의 응답자는 지난 12개월 동안 조직에서 데이터 침해를 경험했다고 답했으며, 이 중 54%11건 이상의 침해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가장 자주 표적이 된 산업은 소매(79%), IT 및 기술(55%), 비즈니스 및 전문 서비스(45%) 순이었다. 또한, 위협 행위자들은 주로 개인 식별 정보(65%), 고객 데이터(62%), 사용자 접근 자격 증명(60%)을 주된 표적으로 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기업들은 여전히 랜섬웨어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2년 동안 랜섬웨어 공격을 경험한 조직의 33%가 몸값을 지불했다고 답했으며, 이들 중 38%는 몸값 지불을 반대하는 공개 서약을 한 상태였다. 전반적으로, 웹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버의 패치되지 않은 취약점(52%)이 위협 행위자들이 가장 자주 사용하는 침입 경로로 드러났다.

 

클라우드플레어 김도균 한국 지사장은 "AI 기반 사이버 공격이 점점 정교해짐에 따라 많은 조직이 이에 대한 방어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이버 보안 리더는 진화하는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조직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보다 명확히 파악하고, 이를 위해 지속적으로 리소스, 솔루션 및 전략을 평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규제컴플라이언스도 올해 설문조사의 주요 주제 중 하나였다. 조사 결과, 한국 응답자의 27%IT 예산의 5% 이상을 규제 및 컴플라이언스 요구 사항 해결에 할당했다고 답했으며, 19%는 업계 규제 요구 사항 충족 및 인증 획득을 위해 주당 근로시간의 10% 이상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규제 및 컴플라이언스에 대한 투자는 조직의 기본 개인정보 보호 및/또는 보안 수준 향상(50%), 조직의 평판 및 브랜드 개선(44%), 조직의 기술 및 데이터 무결성 개선(44%) 등 비즈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77%의 응답자가 조직 IT 예산의 10% 이상을 사이버 보안에 사용하고 있으며, 사이버 공격에 대한 방어가 여전히 조직의 최우선 과제로 꼽히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클라우드플레어#침해사고#AI#

 

Articles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