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트너, “완전 자율 AI 에이전트 도입 기업은 15%에 불과”

by newsit posted Oct 01, 2025
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기업 75%, AI 에이전트 도입했지만 거버넌스·기술 성숙도·확산 우려가 걸림돌

- AI 에이전트, 단기간 내 애플리케이션·인력 대체 가능성 낮아

 

가트너, “완전 자율 AI 에이전트 도입 기업은 15_에 불과”.jpg

가트너는 사람의 감독 없이 목표를 수행하는 완전 자율 AI 에이전트를 고려하거나 시범 운영 중인 기업은 15%에 불과하다고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북미, 유럽, 아시아 태평양 지역 360개 기업의 IT 애플리케이션 리더이며, 20255~6월에 진행됐다. 생성형 AI와 에이전틱 AI가 기업 애플리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다.

 

가트너 시니어 디렉터 맥스 고스(Max Goss) 애널리스트는 “AI 에이전트 도입은 증가하고 있지만, 거버넌스 부재와 기술 성숙도, 확산에 대한 우려가 완전 자율 구축을 막고 있다고 설명하고, “응답자의 75%는 시범 도입했거나 배포 중이지만, 실제 완전 자율 운영은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응답자의 19%만 공급업체의 환각 방지 기능을 신뢰했고, 74%AI 에이전트가 새로운 공격 경로가 될 것이라 우려했다. 또한, 적절한 거버넌스 체계를 갖췄다고 확신한 기업은 13%에 불과했다.

 

AI 에이전트가 가져올 혁신 효과에 대해서는 26%가 생산성에 혁신적 변화를 기대했으나, 절반 이상(53%)은 영향력은 크지만 혁신 수준은 아닐 것으로 답했다.

 

내부 의견 합의 여부도 중요했다. IT와 비즈니스 직원 간 AI 활용 목표에 대한 일치가 있는 기업은 AI 에이전트 혁신 가능성과 생성형 AI 도구 활용 가능성이 각각 1.6, 3배 이상 높았다.

 

향후 2~4년 내 AI 에이전트가 애플리케이션이나 인력을 대체할 가능성은 낮다고 전망됐다. 애플리케이션 대체 강력 동의는 12%, 작업자 대체 강력 동의는 7%였다.

 

가트너는 자율 AI 에이전트 도입 기업에 세 가지(AI 에이전트 거버넌스 구축 영향력 높은 영역에 전략적 배치 멀티벤더 전략 채택)를 권고했다

 

#AI에이전트 #에이전틱AI #기업AI전략 #가트너 #AI거버넌스 #생산성혁신 #디지털전환 #기업혁신

 

Articles

2 3 4 5 6 7 8 9 10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