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디아,“2025년, LTPO가 LTPS 제치고 플렉서블 AMOLED 시장 주도”

by newsit posted Oct 02, 2025
Extra Form
참조#1 https://cts.businesswire.com/ct/CT?id=sm...138c0096f1
참조#2 https://omdia.tech.informa.co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옴디아,“2025년, LTPO가 LTPS 제치고 플렉서블 AMOLED 시장 주도”.jpg

 

글로벌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저온 다결정 산화물(LTPO) 기술이 저온 다결정 실리콘(LTPS)을 넘어 스마트폰 플렉서블 AMOLED의 핵심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Omdia)OLED 디스플레이 마켓 트래커에 따르면, 2025년 하반기 LTPO 기반 플렉서블 AMOLED 출하량은 LTPS 기반 제품을 처음으로 추월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4년 전체 AMOLED 디스플레이 출하량이 TFT LCD를 넘어 전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출하량의 51%를 차지한 데 이어, LTPO의 약진이 플렉서블 AMOLED의 주류화를 더욱 가속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애플이 이러한 변화를 견인하고 있다. 2025년 애플은 아이폰 16E와 아이폰 17 시리즈 등 총 5종의 AMOLED 모델을 출시하며, 기존 LTPS LCD 기반 아이폰 SE 모델을 단계적으로 단종시킨다. 이 가운데 4종의 아이폰 17 시리즈와 신규 아이폰 에어에는 모두 LTPO 플렉서블 AMOLED가 탑재된다. 이에 따라 2025년 하반기 LTPO 점유율은 3분기 55.3%, 4분기 58.8%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들도 플래그십에서 하이엔드 모델로 LTPO 적용을 확대하며 수요 증가에 힘을 보태고 있다. 패널 공급 측면에서는 삼성디스플레이, BOE, 톈마(Tianma) 등이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분석된다.

 

옴디아 브라이언 허 수석 애널리스트는 애플의 LTPO 전환 완료는 안드로이드 진영에도 강력한 압박으로 작용한다. 중국 패널 업체들의 공격적인 LTPO 채택 전략과 맞물려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LTPO AMOLED의 성장은 장기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LTPO #LTPS #플렉서블AMOLED #스마트폰디스플레이 #애플 #아이폰17 #삼성디스플레이 #BOE #톈마 #Omdia

 

Articles

6 7 8 9 10 11 12 13 1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