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미국 AI 인프라 구축으로 차세대 산업 혁명 주도

by newsit posted Oct 30, 2025
Extra Form
참조#1 https://www.nvidia.com/ko-kr/networking/...ntum-x800/
참조#2 https://blogs.nvidia.com/blog/omniverse-dsx-blueprint/
참조#3 https://www.nvidia.com/ko-kr/omniverse/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아르곤·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 신규 AI 시스템 7개 공개 예정

- 버지니아 AI 팩토리 리서치 센터에 최초 베라 루빈 인프라 구축, 옴니버스 DSX 기반 기가와트급 확장 청사진 마련

- 서버 제조사, 클라우드 제공업체, 모델 개발사, 기술 공급사 등 미국 선도 기업, 첨단 AI 인프라 투자

 

엔비디아 파트너사와 미국 AI 인프라 구축. 차세대 산업 혁명 청사진 수립.jpg

엔비디아는 미국 에너지부(DOE) 산하 국립연구소 및 주요 기업들과 협력해 미국의 AI 인프라를 구축한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과학적 발견과 경제 성장을 지원하고 차세대 산업 혁명을 이끌 계획이다.

 

젠슨 황 CEO는 “미래 산업과 국가 경쟁력을 좌우할 AI 혁명의 시대가 도래했다. 엔비디아는 파트너와 함께 역대 최고의 AI 인프라를 구축하며, 미국이 혁신과 협력의 기반 위에서 번영하는 미래를 확보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립연구소와의 AI 협력
엔비디아는 아르곤·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에 AI 인프라를 제공해 7개의 신규 시스템을 가동, 과학 연구와 혁신을 가속화한다. 오라클과 협력해 구축 중인 솔스티스(Solstice) 시스템은 10만 개 블랙웰 GPU를 탑재하며, 미국의 보안·과학·에너지 분야 기술 리더십 강화에 기여할 예정이다.

 

이퀴녹스(Equinox)는 1만 개 블랙웰 GPU를 탑재하고 2026년 출시 예정이다. 아르곤 국립연구소의 타라(Tara), 미네르바(Minerva), 야누스(Janus) 시스템은 연구자들에게 AI 기반 컴퓨팅 접근성을 확대한다.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LANL)는 베라 루빈(Vera Rubin) 플랫폼과 퀀텀 X800 인피니밴드 네트워킹을 도입, 기밀 연구용과 비기밀 연구용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통해 재료 과학, 기후 모델링, 양자 컴퓨팅 등 분야에서 복잡한 시뮬레이션과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다.

 

AI 팩토리 리서치 센터와 옴니버스 DSX 청사진
엔비디아는 버지니아주 디지털 리얼티에 AI 팩토리 리서치 센터를 구축, 베라 루빈 플랫폼과 옴니버스 DSX를 기반으로 기가와트급 초대형 AI 인프라 확장 청사진을 마련했다. 센터는 생성형 AI, 과학 컴퓨팅, 첨단 제조 분야 연구를 지원하며, 디지털 트윈 기반의 최적화된 에너지 효율과 운영 효율성을 제공한다.

 

엔비지니어링·건설사 벡텔과 제이콥스, 전력·냉각 장비사 이튼, GE 버노바, 히타치, 슈나이더 일렉트릭, 지멘스, 테슬라 등 파트너사들은 AI 팩토리 설계·운영 전반에 디지털 트윈과 모듈식 인프라 기술을 적용한다. AI 에이전트들은 전력, 냉각, 작업량을 최적화하며 에너지 효율성과 시스템 복원성을 향상시킨다.

 

미국 내 AI 인프라 확장
서버 제조사(시스코, 델, HPE, 슈퍼마이크로), 클라우드 서
비스 제공사, 모델 개발사, 기술 공급사 등 미국 선도 기업들은 첨단 AI 인프라에 투자하며 AI 팩토리 구축과 AI 기술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

  • 구글 클라우드, 엔비디아 GB300 NVL72 기반 A4X 맥스 VM·G4 VM 제공

  •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엔비디아 RTX 프로 6000 블랙웰 GPU 활용 대규모 클러스터 배포

  • 오라클, 엔비디아 AI 인프라 기반 클라우드 AI 슈퍼컴퓨터 ‘제타스케일10’ 출시

  • 람다, 10,000개 이상 GB300 NVL72 GPU 보유 AI 팩토리 건설

  • 투게더 AI·엑스AI 등, 엔비디아 GPU 기반 신규 AI 팩토리 확장

산업용 AI 인프라 사례
릴리(Lilly)는 DGX B300과 DGX SuperPOD 기반 AI 팩토리로 신약 개발과 설계 가속화, 메이요 클리닉은 2천만 환자 질병 데이터 기반 AI 팩토리로 의료 연구와 개인 맞춤형 치료 발전에 활용한다.

 

#AI혁신 #엔비디아 #AI인프라 #국립연구소 #AI팩토리 #차세대산업혁명 #옴니버스DSX #생성형AI #디지털트윈 #미국AI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