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롭게 신설된 HPE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 그룹(CTG)이 선보이는 첫 오픈랜 솔루션
- 통신기업의 소프트웨어, 서비스, 인프라 전반을 아우르는 혁신적인 서비스 제공
- HPE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 통해 더욱 유연하고 자동화된 무선접속망 구축 지원 및 다양한 규모의 상업용 오픈랜 설치 기반 마련
HPE가 전 세계 5G 네트워크 시설에 상업용 오픈랜을 구축할 수 있는 HPE 오픈랜 솔루션 스택(HPE Open RAN Solution Stack)을 최초 공개했다.
HPE 오픈랜 솔루션 스택은 HPE의 오케스트레이션 및 자동화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무선통신망용 인프라 블루프린트 및 통신 사업에 최적화된 인프라를 제공한다. HPE의 서비스 관리 및 오케스트레이션 소프트웨어는 코어에서 엣지까지 모든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며, HPE 오픈랜 솔루션 스택은 업계 최초로 HPE 프로라이언트 DL110 Gen10 플러스 서버를 제공한다.
HPE는 사내에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 그룹(Communication Technology Group)을 신설하는 등 업계 내 가장 광범위한 통신사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CTG에서는 상호 호환되는 오픈 솔루션 스택 제품군을 활용해 통신사 및 기업들이 새로운 5G 사업기회를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 같은 일환으로 HPE CTG는 지난해 선보인 HPE 5G 코어 스택의 뒤를 이어 이번 HPE 오픈랙 솔루션을 출시했다.
해당 솔루션들은 공동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에 서로 연결되어 통신기업이 코어에서 엣지까지 모든 환경에서 리소스와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한편, HPE 5G 코어 스택과 HPE 오픈랙 솔루션은 기존 오픈랜 소프트웨어를 HPE 오픈랜 솔루션 스택으로 시범 적용하고 최적화하였다.
글로벌 통신 업계는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5G를 개방형 표준으로 구축함에 따라 이제 통신기업은 이전 세대에 네트워크가 완공될 때와 달리, 특허권을 가진 단독 벤더 시스템이 아닌 다양한 벤더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랜과 코어에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오픈 테크놀로지 방식은 활발한 경쟁유도 및 비용절감 효과는 물론 혁신을 이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어 통신 분야를 포함한 다양한 기업과 정부로부터 채택되고 있다.
오픈 클라우드 네이티브 5G는 가상 네트워크를 구동하고 기술적 진보를 통해 5G랜에서도 세분화(disaggregation) 이점을 누릴 수 있도록 IT 하드웨어 산업 표준에 맞춰 설치되었다. 이에 통신 기업들은 HPE 오픈랜 솔루션 스택 도입을 통해 스케일 단위의 상업용 오픈랜 도입을 대비할 수 있게 되었다. HPE는 업계 변화를 선도하는 글로벌 무선통신망 업계 연합 ‘O-RAN 얼라이언스’와 함께 ‘이통사 인프라 프로젝트(TIP)’에도 참여하는 등, 지난 30년간 통신 기업의 인프라 및 소프트웨어 디자인, 구축 및 전환을 진행한 독보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더욱 강화된 사전통합 무선통신망 플랫폼을 선보이고 있다.
필 모트람 (Phil Mottram) HPE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 그룹(CTG) 부사장 겸 총괄은 “HPE는 안전한 개방형 솔루션 스택을 통해 엣지에서 클라우드 전반에 변화를 일으키며 5G 경제 혁신의 기폭제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는 최적화된 HPE 오픈랜 솔루션 스택을 선보이기 위해 다양한 고객 및 파트너사와 협력해왔다. 이를 통해 이번에 선보이는 HPE 프로라이언트 DL 110 Gen10 플러스 서버는 업계 최초로 오픈랜 워크로드에 최적화된 서버로써 통신기업의 인프라 간소화, 비용절감, 효율성 증대 효과를 촉진하며 무선랜의 미래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HPE와 오렌지사의 5G 코어 기술을 위한 협력
세계 최대 모바일 통신사인 오렌지(Orange)는 최근 5G용 개방형 멀티 벤더 클라우드로 자사 시스템을 전환하고 있다. 지난 해 HPE와 케이블 네트워크 장비업체 카사 시스템(Casa Systems)이 함께 프랑스에 위치한 오렌지사의 실험실에서 데모 실험을 성공적으로 진행하는 등 오렌지사는 5G로의 시스템 대전환을 다양한 방식으로 검증하며 안전하게 이어가고 있다.
엠마누엘 비데(Emmanuel Bidet) 오렌지 그룹 컨버전트 네트워크 컨트롤 부사장은 “지난 2020년 우리는 HPE와 함께 세계 최초로 멀티 벤더 5G 네트워크 체인만을 활용해 통화 연결에 성공했다. 이제 우리는 더 나아가 100% 소프트웨어만을 기반으로 데이터 및 AI 중심의 완전 자동화된 5G 코어 시스템을 테스트하고 있다. HPE는 코어 네트워크와 OSS 시스템 기술의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기업으로 멀티 벤더의 필요성과 애플리케이션에서 인프라까지 다면적인 기술 통합의 필요성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고 있다. HPE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비스, 표준형 네트워크 및 자동화된 슬라이스 관리 기능 등을 제공하여 복제를 통해 국가별로 엔드 투 엔드 통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번 첫 시도에 고무적인 결과를 얻게 되어 매우 기쁘고 HPE 팀들이 적극적으로 협력해 준 부분을 매우 감사하게 여기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같이 통신기업은 HPE 5G 코어 스택을 활용해 벤더락인 효과에 구애받지 않고 5G 산업 표준에 맞는 미래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HPE 5G 코어 스택이 구축, 테스트 및 준비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은 1시간 미만으로 기존의 코어 솔루션보다 10배 더 빠른 설치 속도를 자랑한다. 또한, 진정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 덕분에 운영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규모 제한 없이 확장이 가능하다.
HPE 5G 코어 스택은 HPE 그린레이크를 통해 사용량 기반 과금 모델로 활용 가능함으로써 통신기업은 5G 코어 네트워크의 운영비용을 절감하고 사용자 수에 맞는 비용을 산정해 투자비용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