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 기반 협업으로 한국 기업의 글로벌 지속가능성 경쟁력 강화

 

토마스 뢴쉬(Thomas Rösch) Cofinity X 대표이사(좌), 사성진 마이셀 대표이사(중), 정운성 다쏘시스템코리아 대표이사(우)가 LCA·DPP 통합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있다._.jpg

국내 최초 LCA·DPP 통합 프로젝트

AI 버추얼 트윈 기업 다쏘시스템이 바이오소재 스타트업 마이셀(Mycel)과 함께 국내 최초로 LCA(전과정평가)와 DPP(디지털 제품여권)를 Cofinity X와 연계하는 프로젝트를 수주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국내 기업이 LCA·DPP·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을 선제적으로 도입한 첫 사례로, 다쏘시스템이 국제 표준 기반 데이터 협업 체계를 구축한 점에서 의미가 크다.

LCA·DPP와 글로벌 시장 대응

LCA는 제품의 전체 생명주기 동안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계산하고 관리하는 기법이며, DPP는 수출 시 제출해야 하는 제품의 디지털 여권이다. 유럽연합(EU)을 중심으로 확산 중인 이 제도들은 중소기업 대응 여부가 완성품 기업의 DPP 완전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므로, 국가 산업 경쟁력과 직결되는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프로젝트 수행 및 데이터 연계

이번 계약을 통해 마이셀은 월 단위로 LCA·DPP 데이터를 발행하고 Cofinity X 데이터스페이스와 직접 연계하는 체계를 구축했다. 이는 한국 기업이 유럽 공식 LCA·DPP 네트워크에 연결된 첫 사례다. 다쏘시스템은 데이터 수집과 분석, 국제 표준 인증을 담당하는 트레스웍스, 시스템 통합 및 글로벌 네트워크 연계를 수행하는 IBCT와 협력해 엔드투엔드 서비스 체계를 구현했다.

전략적 경쟁력과 산업 신뢰도 강화

다쏘시스템코리아 정운성 대표이사는 “이번 계약은 한국 기업들이 LCA와 DPP를 단순 규제 대응이 아닌 전략적 경쟁력 도구로 전환하는 중요한 계기”라고 밝히고. 마이셀 사성진 대표는 “소재 단계부터 투명한 ESG 데이터 생태계를 구현하는 새로운 산업 모델”이라고 덧붙였다. Cofinity X 토마스 뢴쉬 대표는 “한국과 유럽을 데이터로 연결하는 첫 사례이자 글로벌 공급망 지속가능성의 전환점”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사례는 단일 프로젝트를 넘어, 한국 기업이 글로벌 공급망의 지속가능성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실질적 모델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다쏘시스템은 앞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국제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협력과 지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다쏘시스템 #LCA #DPP #CofinityX #Sustainability #ESG #데이터협업 #글로벌공급망 #한국산업혁신

?

  1. 아마존, 2031년까지 한국 클라우드 인프라에 7조 원 추가 투자

  2. 델, AI 성과 가속화 위한 ‘델 AI 데이터 플랫폼’ 대규모 업데이트 발표

  3. 데클라, 관세 불확실성 극복 위한 AI 기반 공급망 분석 플랫폼 공개

  4. HPE, 오크리지 국립연구소에 차세대 엑사스케일 슈퍼컴퓨터 ‘디스커버리’ 및 AI 클러스터 ‘럭스’ 구축

  5. 사이버다임, ‘AI Assistant’ 출시…문서중앙화에 AI 결합으로 지식 활용 혁신 가속

  6. 레드햇, ‘레드햇 서밋 커넥트 서울 2025’ 성료...오픈소스 기반 혁신 전략과 AI 플랫폼 비전 공유

  7. 데이터독, ‘데이터독 서밋 서울 2025’ 개최…AI 옵저버빌리티·보안 혁신 사례 공유

  8. 슈나이더 일렉트릭, ‘그린쉽 솔루션’으로 해운업계 탄소중립 가속화

  9. 티맥스티베로, 전 제품군 브랜드 아이덴티티 리뉴얼…AI 시대 데이터 혁신 기업으로 재도약

  10. 다쏘시스템, 국내 최초 LCA·DPP Cofinity X 연계 프로젝트 수주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02 Next
/ 20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