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디아가 20224분기 스마트폰 예비 출하량에 관한 보고서를 3일 발표했다. 옴디아에 따르면 4분기 전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은 총 3150만 대로 전년 대비 15.4% 감소했다. 일반적으로 4분기 출하량이 가장 많지만 올해는 전분기 대비 0.7% 감소하는 등 흐름이 역전됐다. 실제로 대부분의 브랜드들은 출하량이 두 자릿수 감소하는 등 전년 대비 큰 폭의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애플은 4분기에 7390만 대의 출하량을 기록했다. 20223분기보다 41.6% 증가한 수치지만, 20214분기 출하량과 비교하면 13.3% 감소했다. 전년 동기 대비 출하량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애플의 시장 점유율은 20224

옴디아_Year Result 2022 Smartphone Shipments.jpg

 

분기에 25%를 기록하며 24%를 기록한 20214분기에 비해 증가했다. 이는 다른 브랜드 업체들이 이와 유사하거나 더 큰 하락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애플은 20204분기부터 20223분기까지 8분기(2) 연속 전년대비 성장을 기록했으나, 지난 4분기에는 생산차질의 여파로 출하량이 감소했다.

 

옴디아 홍주식 이사는 "애플은 20221~3분기 전체적인 시장 하락에도 불구하고 전년대비 출하량이 증가한 몇 안되는 브랜드였다. 전반적인 시장침체 분위기를 거스를 수 없었다. 애플의 고객들은 상대적으로 충성심이 높고 고소득자들이기 때문에 경기침체의 영향을 중저가 브랜드 대비 상대적으로 덜 받지만, 계속되는 인플레이션과 중국 폭스콘 공장 생산차질로 2022년 애플의 4분기 실적은 전년에 비해 큰 폭으로 감소했다.

 

새로운 전면 디스플레이 다이나믹 아일랜드(Dynamic Island) 덕분에 최신 아이폰 14 Pro 14 Pro Max에 대한 초기 수요가 강했고 고객 피드백은 긍정적이었다. 애플은 강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이 두 모델의 최대치의 생산량을 계획했다. 하지만 폭스콘 공장의 생산 중단은 이에 찬물을 끼얹었다"고 밝혔다.

 

삼성은 1위에서 2위로 내려앉았다. 이는 전통적으로 4분기 최대의 출하량을 기록하는 애플의 영향 및 삼성의 전년 동기 대비 15.4% 감소한 출하량 여파이기도 하다. 삼성은 20214분기에 6,900만대의 출하량을 기록한 데 비해 20224분기에는 5,800만대를 기록했다. 전 분기 대비로 봐도 6,400만대에서 8.8% 감소했다. 그러나 중국 업체들의 하락폭이 더 크게 기록되며 4분기 시장 점유율은 작년과 동일한 19%를 기록했다.

 

중국의 주요 브랜드들은 계속해서 하락세를 겪고 있다. 각각 출하량 3~5위인 샤오미, 비보 그리고 오포는 4분기 모두 전년 동기 대비 25% 이상 감소세를 기록했다. 샤오미는 4분기에 3,300만 대를 기록하며 출하량 기준으로 업계 3위 자리를 유지했다. 다만 이는 전 분기(3분기 4,100만대, 18% 감소)와 전년 동기(4분기 4,500만대, 26.5% 감소) 대비 모두 크게 감소한 것이다.

 

오포그룹과 비보는 4위와 5위 자리를 맞바꿨지만 두 업체 모두 출하량이 감소했다. 비보는 4분기 2,400만대를 출하해 3분기 2,500만대에 비해 소폭 감소했지만 전년 동기(3,200만대) 대비 25.8%나 큰 폭으로 감소했다. 오포그룹은 전 분기 2,900만대에서 4분기 2,300만대으로 20.3% 감소하는 등 낙폭이 더 컸다. 전년 대비로도 3,300만대에서 29.1% 감소한 수치다.

 

트랜션과 아너의 출하량은 여타 중국 브랜드들보다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적았다. 트랜션은 지난 분기 출하량이 1,700만대를 기록하며 출하량 순위 6위를 기록했는데, 이는 전 분기와 전년 동기의 수치인 1,800만대에 비해 소폭 감소한 것에 불과하다. 아너의 4분기 출하량은 총 1,400만 대였다. 이는 전 분기와 비슷한 수준이고 전년 동기 수치인 1500만대에 비해 소폭 감소한 것이다.

 옴디아_Quarterly Result 4Q22.png

리얼미는 1,100만 대로 8위를 차지했다. 이는 전 분기에 비해 16.9%, 전년 동기에 비해 31.5%나 감소한 것으로, 해당 수치는 주요 브랜드 중 가장 큰 하락폭이었다. 브랜드의 핵심 시장인 중국 내수 시장의 위축, 인도 정부와의 긴장 고조, 동유럽 시장의 혼란 등이 출하량 부진의 원인으로 분석된다. 더불어 중저가 스마트폰 비중이 높아 경기침체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과 2022년 과다 보유한 재고 소진을 위해 출하량이 감소했다.

 

옴디아의 수석 분석가인 제이커 리는 "현지 경기 침체, 중국 주요 도시의 팬데믹 관련 봉쇄 등 중국 브랜드 출하 부진이 지속되고 있는 데다 제로 코로나 정책의 갑작스러운 중단으로 시장에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고 설명하고, ”세계적으로 높은 인플레이션율은 소비자들의 가처분 소득을 줄이고 있으며, 이는 주로 중저가 가격대를 목표로 하는 중국 브랜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제로, 많은 중국 브랜드 업체들도 글로벌 최대의 스마트폰 시장인 인도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러한 수요 감소는 재고 증가로 이어졌다. 이에 따라 브랜드 업체들이 분기별로 출하 목표를 하향 조정해왔으며, 이는 적어도 두 분기 동안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모토로라는 1,100만대로 전분기 대비 10.4% 감소한 9위를 유지하고 있다. 화웨이의 출하량은 전분기의 860만대에서 750만대로 하락했지만 여전히 10위를 유지하고 있다. 계속되는 미국 정부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출하량은 전년 동기 대비 59.6% 증가했다.

 

2022년 누적 출하량은 127백만대를 기록했다. 이는 2021년의 출하량인 134천만대보다 9.9% 감소한 것이다. 아너는 2021134천만 출하량 대해 20225,900만 대를 기록하며 출하량이 증가한 유일한 브랜드이다.

 

애플과 모토로라는 각각 1.3%1.4%의 소폭 하락을 보이며 전반적인 시장 하락 추세에도 전년대비 감소율이 적었다. 삼성의 2022년 누적 출하량은 25900만대로 브랜드 중 최고였지만 이는 2021년 기록한 27200만대에 비해 4.8% 감소한 수치다.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것은 중국 브랜드 업체들로, 샤오미, 비보 그리고 오포 그룹 모두 출하량이 전년 대비 두 자릿수 감소를 보였다.

 

옴디아 홍주식 이사는 ”2022년 매분기 브랜드의 출하량과 목표가 하향조정됐고, 애플과 삼성 등 많은 브랜드의 출하량이 예상보다 더 하락했다고 설명하고, “스마트폰의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많지만, 경기침체와 인플레이션 시장 침체를 가속화 하고 있다. 또한 달러의 강세로 인한 부품가격 상승으로 브랜드의 수익성이 악화되었다. 그 결과 판촉 및 마케팅 활동 위축과, 작년에 쌓인 높은 재고 및 부진한 스마트폰 수요로 인해 출하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적어도 20233분기까지 출하량이 증가할 가능성이 낮아, 시장이 회복되려면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옴디아#스마트폰#삼성#애플#아이폰#모토롤라#오포#화웨이#비포

 

 
?

  1.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렉시엄 MC12 멀티 캐리어’ 출시…“제조 현장에 생산 유연성 증대”

    - 유연한 운송 솔루션을 통해 최소 공간에서 최대 생산성 확보 - 자사 개방형 아키텍처 플랫폼 에코스트럭처와 결합해 원격 모니터링 및 예지보전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는 지능형 차세대 운송 솔루션 ‘렉시엄(Lexium) MC12 멀티캐리어’를 출시한다고 밝혔...
    Date2023.02.08 Bynewsit Views365
    Read More
  2. 존슨콘트롤즈, ‘하이브리드 에너지’ 인수…“산업용 히트펌프 포트폴리오 강화”

    - 특히 유럽 내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난방 및 산업용 시장에 고온 히트펌프 제공 가능 - GWP가 매우 낮은 천연 냉매로 100도 이상 온도를 낼 수 있는 특허 기술 확보 - 제품의 온도 범위를 확장해 산업용 히트펌프 포트폴리오 성장에 박차 존슨콘트롤즈는 지역...
    Date2023.02.07 Bynewsit Views282
    Read More
  3. 티맥스소프트, 글로벌 총괄에 고성호 부사장 선임…“"글로벌 디지털 전환 사업 가속화“

    - 해외 법인 비즈니스 지원하는 'GBSC 총괄'로 임명 - 고성호 부사장, 오라클, 인텔 등에서 마케팅 및 전략제휴 임원 역임 - GBSC 통해 해외 법인과 긴밀히 협력하며 '글로벌 디지털 전환 파트너' 입지 강화 티맥스소프트가 글로벌 비즈니스를 지원하는 GBSC의...
    Date2023.02.06 Bynewsit Views322
    Read More
  4. 레드햇, SAP와 협력 강화…“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SAP 소프트웨어 워크로드 지원”

    - SaaS 표준 운영 체제로 레드햇 리눅스 플랫폼에서 구동 및 클라우드 인프라의 비중 늘려 - SAP 내부 IT 환경 강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혁신과 고객 가치 창출 -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운영체제 상에서 구동하는 SAP 솔루션으로 ‘라이즈 위드 SAP(RIS...
    Date2023.02.03 Bynewsit Views335
    Read More
  5. 옴디아, 2022년 4분기 스마트폰 예비 출하량 보고서 발표  

    옴디아가 2022년 4분기 스마트폰 예비 출하량에 관한 보고서를 3일 발표했다. 옴디아에 따르면 4분기 전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은 총 3억 150만 대로 전년 대비 15.4% 감소했다. 일반적으로 4분기 출하량이 가장 많지만 올해는 전분기 대비 0.7% 감소하는 등 흐...
    Date2023.02.03 Bynewsit Views350
    Read More
  6. HPE, AI 전문기업 ‘에이프리카’와 AI PaaS 솔루션 사업 업무협약 체결

    - AI PaaS 솔루션 부문 파트너십 통해 기술·영업·마케팅 부분에 대한 협력 예정 - HPE 그린레이크 통해 MLOps 솔루션 치타를 PaaS 형태로 제공하며 소비자에게 합리적 요금제 제공 한국 HPE는 인공지능(AI) 전문기업 에이프리카(AIFRICA)와 하이브리드 클라우...
    Date2023.02.03 Bynewsit Views493
    Read More
  7. 다쏘시스템코리아, 2023년 전략과 비전 발표…“버추얼 트윈 시장 선도”

    다쏘시스템은 경험의 경제를 선도하는 프랑스 3D익스피리언스 기업 다쏘시스템의 한국지사 25주년 기념하고, 대한민국 제조 산업과 성장해온 지난 시간을 돌아보고 2023년 전략과 비전을 발표했다. 다쏘시스템 아시아∙태평양지역 총괄 사장인 삼손 카우(Samson...
    Date2023.02.03 Bynewsit Views392
    Read More
  8. 큐브리드, ‘고향사랑기부제’ 종합정보시스템에 오픈소스 DBMS 공급

    큐브리드가 한국지역정보개발원의 고향사랑기부제 종합정보시스템인 ‘고향사랑e음’에 오픈소스 DBMS CUBRID를 공급했다고 밝혔다. ‘고향사랑기부제’는 개인이 주소지 이외의 지방자치단체에 1인당 연간 500만원 이하 일정 금액을 기부하면 지자체는 이를 모아 ...
    Date2023.02.03 Bynewsit Views325
    Read More
  9. 가트너, 2023년 전 세계 디바이스 출하량 4% 감소 전망…“2년 연속 감소세”

    - 출하량, 22년 16% 감소에 이어 23년 7% 감소 예측 - 23년 하반기 PC 재고 수준 정상화될 것 - 전반적 디바이스 교체 주기 6개월에서 9개월 이상으로 연장 가트너가 PC, 태블릿 및 휴대폰을 포함한 2023년 전 세계 총 디바이스 출하량이 4.4% 감소해 총 17억 ...
    Date2023.02.02 Bynewsit Views336
    Read More
  10. 바이코, CCell과 함께 전 세계 해안 침식 대응 솔루션 제시

    - 산호초 성장을 가속화하는 CCell의 솔루션으로 해안 침식 방지 바이코는 팟캐스트 파워링 이노베이션을 통해 연안 침식을 방지하는 새로운 기술을 탐구한다고 밝혔다. 이번 에피소드에서는 침식 및 파도로 인한 해안의 황폐화와 관련하여 해안 환경과 지역 ...
    Date2023.02.02 Bynewsit Views34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 202 Next
/ 20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