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성형 AI가 혁신을 촉진할 것으로 믿는 낙관론 커지는 한편, 실제 구현의 단계에서 여러가지 어려움에 직면

- IT 의사결정권자들의 대부분이 보안, 개인정보보호, IP 등의 문제로 온프레미스 또는 하이브리드 모델의 생성형 AI 선호

 

 

델 이노베이션 카탈리스트 조사_혁신을 저해하는 요소 (2).jpg

 

델 테크놀로지스가 국내 79%, 전 세계 81%에 달하는 상당수의 기업 및 기관에서 생성형 AI가 혁신을 촉진할 것으로 보고 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델 테크놀로지스가 독립 연구 기관 밴슨 본(Vanson Bourne)에 의뢰해 실시한 이노베이션 카탈리스트(Innovation Catalysts)’에 대한 연구로 전 세계 40개국 6600여명, 국내 300여명의 IT 리더 및 비즈니스 의사결정권자들이 참여했다.

 

조사에 따르면 상당수의 기업과 기관에서 AI 및 생성형 AI를 낙관적으로 보고 있는 한편 변화의 속도를 인식하고 혁신을 가속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기업의 72%, 전 세계 평균 82%가 현재 업계에서 경쟁 우위를 위해 유리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으며 탄탄한 전략을 가지고 있다고 답했다.

 

한편 국내 기업의 63%, 전 세계 평균 48%는 향후 3~5년 후 업계가 어떤 모습을 보일지 불확실하다고 답했으며, 국내 기업의 77%, 전 세계 평균 10명 중 6(57%)은 변화에 발맞추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이들은 혁신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으로 적합한 인재 부족(국내 39%, 전 세계 35%), 예산 부족(국내 35%, 전 세계 29%), 데이터 프라이버시 및 사이버 보안 문제(국내 28%, 전세계 31%)를 꼽았다.

 

아이디어에서 실제 구현의 단계로 나아가는 생성형 AI

보고서는 많은 조직에서 생성형 AI에 주목하고 있다고 분석하며 특히 이 기술이 생산성 향상(국내 기업의 55%, 전 세계 평균 52%), 고객 경험 개선(국내 기업의 44%, 전 세계 평균 51%), IT 보안 태세 개선(국내 기업의 43%, 전 세계 평균 52%)에 있어 혁신적이며 상당한 가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답했다.

 

대부분의 IT 의사 결정권자(국내 기업의 81%, 전 세계 평균 82%)는 생성형 AI 구현 시 예상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온프레미스 또는 하이브리드 모델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기업의 70%, 전세계 평균 68%는 생성형 AI가 새로운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문제를 야기할 것이라고 우려했으며, 국내 기업과 전 세계 평균 동일 수치인 73%는 데이터와 IP가 대단히 중요하기 때문에 제 3자가 액세스할 수 있는 생성형 AI 툴에 저장할 수 없다는 데 동의했다.

 

이는 생성형 AI가 아이디어에서 실제 구현의 단계로 전환되며 현실적인 문제에 직면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위험성과 책임 소재의 문제이다. 국내와 전 세계 평균 수치 모두 동일하게 76%AI 오작동 및 원치 않는 동작에 대한 책임이 기계, 사용자 또는 대중이 아니라 조직에 있다는 데 동의했다. 또한, 대부분의 응답자(국내 기업의 78%, 전 세계 평균 83%)는 미래 세대를 위해 AI의 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지금 당장 AI 규제를 도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75% 이상이 소수의 손에 AI의 힘이 집중되면 경쟁의 어려움과 시장 불균형이 초래될 것으로 전망했다.

델 이노베이션 카탈리스트 조사_혁신을 저해하는 요소 (1).jpg

진화하는 위협 환경에 대한 대응

사이버 보안은 조직을 괴롭히는 꾸준한 골칫거리로 꼽혔다. 전세계 응답자의 83%, 한국은 이보다 많은 88%가 지난 12개월 동안 보안 공격의 영향을 받았다고 답했다. 대다수(국내, 전세계 동일 89%)가 제로 트러스트 구축 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전 세계 78%, 한국은 이보다 낮은 69%가 사이버 공격이나 데이터 유출로부터 복구하기 위한 사고 대응 계획이 마련되어 있다고 답했다.

 

최우선 과제 세 가지로는 멀웨어, 피싱, 데이터 유출을 지적했다. 피싱은 더 광범위한 차원에서 위협에 대한 직원들의 역할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국내 기업의 73%, 전 세계 평균 67%는 일부 직원들이 효율성과 생산성을 떨어뜨린다는 이유로 IT 보안 지침과 관행을 무시한다고 보고 있으며, 국내 기업의 69%, 전 세계 평균 65%는 내부자 위협이 큰 우려 사항이라고 답했다. 이는 임직원이 첫 번째 방어선인 만큼 교육에 집중해야 할 필요성을 나타낸다.

 

기술 인프라가 비즈니스 성공의 중요한 요인

생성형 AI와 같은 기술이 발전하고 데이터 양이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 인프라의 중요성이 높아졌다. 확장 가능한 최신 인프라에 대한 투자는 기업이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해 가장 먼저 개선해야 할 분야로 꼽혔다.

 

비즈니스 전반에 걸쳐 데이터를 공유하는 능력 또한 혁신을 위한 핵심 부분으로, 응답자 3명 중 1(국내 기업의 30%, 전 세계 평균 33%)만이 현재 데이터를 실시간 인사이트로 전환하여 혁신을 지원할 수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국내 기업의 78%, 전 세계 평균 82%는 데이터가 경쟁력 차별화의 요소이며 생성형 AI 전략에 데이터 사용 및 보호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고 답해 조직이 이 과제에 대응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응답자의 절반은 향후 5년 내에 대부분의 데이터를 엣지에서 가져올 준비가 되어 있다고 답했다.

 

기술 역량

3분의 2(국내기업의 71%, 전 세계 평균 67%)가 혁신에 필요한 인재가 부족하다고 인식했다. 학습 민첩성 및 학습 욕구, AI 유창성, 창의력 및 창의적 사고가 향후 5년 동안 가장 필요한 기술 및 역량으로 꼽혔다.

 

지속 가능성

42%'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혁신 추진'이 중요한 개선 분야라고 답했다. 한국 기업의 68%, 전 세계 평균 79%IT 환경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서비스형 솔루션을 실험적으로 도입하고 있으며, 국내 기업의 70%, 전세계 평균 73%는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AI 추론을 엣지(: 스마트 빌딩)로 적극적으로 이동시키고 있다고 답하는 등 에너지 효율이 중요한 의제로 떠오르고 있다.

 

IT 부서의 전략적 활용

국내 기업의 89%, 전 세계 평균 81%에 달하는 상당수의 비즈니스 의사 결정권자들이 전략적 대화에서 IT 의사 결정권자를 배제하는 이유를 가지고 있지만, 두 부서 모두 개선해야 할 중요 요인의 두 번째로 관계 강화를 꼽았다.

 

한국 델 테크놀로지스 김경진 총괄 사장은 생성형 AI와 같은 혁신 동력에 대한 낙관론이 고조되는 동시에 기술로서 전환을 시도하기 위해 적극적인 행동에 나서는 양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오늘날과 같이 변화가 빠른 세상에서는 특히 더 그렇다고 설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들로 구성된 강력한 에코시스템을 통해 안전하고 지속가능하며 확장이 용이한 기술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고 밝혔다.

 

##생성형AI#

 
?

  1. 델, “생성형 AI가 기업 역량을 성과 창출에 집중할 수 있도록 조력”

    - 생성형 AI가 혁신을 촉진할 것으로 믿는 낙관론 커지는 한편, 실제 구현의 단계에서 여러가지 어려움에 직면 - IT 의사결정권자들의 대부분이 보안, 개인정보보호, IP 등의 문제로 온프레미스 또는 하이브리드 모델의 생성형 AI 선호 델 테크놀로지스가 국내...
    Date2024.04.30 Bynewsit Views181
    Read More
  2. NCH코리아, ‘산업 윤활관리’ 프로그램 런칭

    NCH코리아는 기계, 중장비 등을 위한 산업 전문 윤활 솔루션 ‘산업 윤활관리 프로그램’을 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농업, 건설,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윤활 유지보수 관리를 위한 제품과 서비스가 결합된 복합 솔루션이다. NCH코리아는 산...
    Date2024.04.30 Bynewsit Views269
    Read More
  3. 블루투스 SIG, 2024 블루투스 시장 동향 업데이트 공개…“2028년까지 블루투스 디바이스 연간 총 출하량 75억 대 전망”

    - 앰비언트 IoT 및 채널 사운딩과 같은 새로운 시장 동인 등장 블루투스 SIG는 매년 블루투스 시장 업데이트를 통해 최신 기술 동향과 다양한 시장에 걸친 트렌드 등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2024년 연례 보고서에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일상 생활에서 ...
    Date2024.04.26 Bynewsit Views250
    Read More
  4. SAP 코리아, ‘SAP 이노베이션 데이 포 CX’ 개최…“AI가 혁신하는 고객 경험 실사례 공유“

    SAP 코리아는 오늘 ‘SAP 이노베이션 데이 포 CX(SAP Innovation Day for CX)’를 오늘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국내 기업의 마케팅 및 세일즈 분야 임직원을 대상으로 보코서울강남 호텔에서 진행된다. AI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고객 데이터 접근...
    Date2024.04.25 Bynewsit Views207
    Read More
  5. 지코어, 엔비디아 파트너 네트워크 어워드에서 ‘산업 혁신기업 부문’ 수상

    - 지코어, 엔비디아로부터 AI 음성-텍스트 솔루션의 성공적인 출시로 혁신에 대한 노력 인정받아 - 향후 프랑스어와 독일어 등 언어 추가해 음성-텍스트 변환 기능을 언어를 초월한 의사소통 도구로 확대해 나갈 계획 지코어(Gcore)는 2024 EMEA 엔비디아 파트...
    Date2024.04.25 Bynewsit Views191
    Read More
  6. 티맥스티베로, DBMS 전문가 ‘이희상 신임 대표’ 선임… “국내외 시장 경쟁력 강화”

    - 35년 경력 DBMS 전문가 이희상 대표… “IT업계서 신임 두터워” 티맥스그룹의 데이터베이스(DBMS) 전문 기업 티맥스티베로가 새 수장으로 이희상 대표를 선임했다. 티맥스티베로는 지난 22일 경기도 성남시 본사에서 이희상 대표 취임식을 진행했다고 25일 밝...
    Date2024.04.25 Bynewsit Views182
    Read More
  7.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코리아, KB증권에 ‘MicroStrategy BI 플랫폼’ 기반 데이터포털(Self BI) 시스템 구축

    - 데이터 포털(Self BI) 구축을 통해 전사적 데이터 활용 증대를 위한 기반 마련 - 다양한 관점의 내부 보고서를 적시성 있게 제공하고 신속한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체계 확립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코리아는 KB증권이 자사의 ‘MicroStrategy BI 플랫폼’을 기...
    Date2024.04.25 Bynewsit Views241
    Read More
  8. 리미니스트리트, ‘2024 리미니스트리트 써밋’ 개최…“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혁신 지원”

    - 유지보수 혁신을 통해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에 대한 전략적 유연성을 확보하고 벤더 락인으로부터 탈피, IT 로드맵에 대한 주도권을 확보하고 기업의 사업 우선순위에 따라 리소스를 최적화 하는 방안 소개 리미니스트리트(Rimini Street)는 지난 4월 17...
    Date2024.04.25 Bynewsit Views144
    Read More
  9. 매스웍스코리아, ‘제4회 매트랩 대학생 AI 경진대회’ 개최…“다양한 분야의 AI 인재 발굴”

    - AI 적용한 프로젝트 구현하고자 하는 국내 대학생∙대학원생 누구나 참가 가능 매스웍스(MathWorks)는 국내 대학생들이 인공지능(AI) 기술 활용 능력을 개발하고, 전문 분야별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제4회 매트랩(MATLAB) 대학생 AI 경진대회’를 개최한...
    Date2024.04.25 Bynewsit Views227
    Read More
  10. 다쏘시스템, HD현대중공업 맞손…“버추얼 트윈 기반 설계-생산 일관화 통합 플랫폼 구축”

    - 다쏘시스템, HD현대중공업과 HD한국조선해양과 전략적 업무 협력으로 버추얼 트윈 기반 설계-생산 일관화 통합 플랫폼 구축으로 생산성 향상과 지속가능성 정조준 - 다쏘시스템, 대한민국 선박제조의 디지털화와 지속가능성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지원할 것...
    Date2024.04.25 Bynewsit Views26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 202 Next
/ 20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