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딕 세미컨덕터, 소형 배터리 제품용 고집적 PMIC 「nPM1304」 출시.jpg

노르딕 세미컨덕터는 업계에서 검증된 자사의 PMIC 제품군인 nPM1300의 성공 공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nPM1304’ PMIC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nPM1304는 소형 배터리를 필요로 하는 공간 제약형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솔루션이다. 소형 배터리는 에너지 예산(전력 사용한도)이 극히 제한적이고, 가능한 가장 낮은 전력으로 모든 기능을 구동해야 하는 까다로운 요구 조건이 수반된다.

 

소형 배터리 제품을 위한 업계 최초의 초저전력 정밀 연료 게이지 기능

nPM1304 PMIC은 크기가 제한적인 저전력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독보적인 시스템 관리 기능과 정밀 연료 게이지(배터리 잔량 측정) 기능을 제공한다. 노르딕 고유의 알고리즘 기반 연료 게이지 방식은 전압, 전류, 온도 모니터링과 배터리 특성에 대한 수학적 모델을 결합하여 배터리 충전 상태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 방식은 쿨롱 카운터 같은 연료 게이지 전용 디바이스와 유사한 정확도를 제공하면서도, 추가적인 전력소모나 누적 오차 문제를 유발하지 않는다. 노르딕은 소형 배터리의 에너지 예산에 부합하는 전력소모로 오늘날 제품 사용자들이 기대하는 수준의 연료 게이지 정확도를 제공하는 최초의 기업이다.

 

연료 게이지 전용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제품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최대 50µA, 대기 상태에서는 7µA의 전류를 소모한다. 예를 들어, 평균 전류 소비량이 200µA인 제품의 경우, 기존의 연료 게이지 방식은 전체 에너지 예산에서 과도한 비중을 차지함으로써 지속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반면, 노르딕 솔루션은 활성 상태에서 8µA, 대기 상태에서는 전혀 전류를 소모하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 수명을 크게 단축시키지 않으면서도 충전 상태를 정확하게 추산할 수 있다.

 

배터리 충전 기능 지원

nPM13044mA ~ 100mA의 충전 전류를 지원하고, 3.5V ~ 4.65V까지 충전 종료 전압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선형 충전 모듈을 탑재하고 있어 단일 셀 리튬이온(Li-ion), 리튬폴리머(Li-poly), 리튬인산철(LiFePO4)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이 배터리 차저는 충전 중 칩의 최대 온도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자동 온도 조절 기능도 갖추고 있다.

 

차세대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설계

nPM1304는 스마트 링, 스포츠 활동 추적기, 개인용 헬스케어 모니터링 기기 등 소형 충전식 배터리를 이용하는 모든 제품에 적합하다.

 

노르딕 세미컨덕터의 PMIC 제품 디렉터인 게이르 코사비크(Geir Kjosavik)소형의 커넥티드 센서 기기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컨슈머 및 헬스케어 분야의 노르딕 고객들은 소형 폼팩터 제품의 한계를 넘어 혁신을 거듭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nPM1304는 초저전력 소모로 배터리 잔여 수명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혁신적인 솔루션으로, 시장의 요구에 완벽하게 부합한다고 밝혔다.

 

nPM1304는 노르딕의 초저전력 무선 SoC 제품군인 nRF52, nRF53, nRF54 시리즈를 비롯해 다양한 마이크로컨트롤러(MCU)의 전원공급장치를 관리하고, 최적화함으로써 최대 효율성과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단일 칩으로 포괄적인 시스템 기능 제공

nPM1304nPM1300 PMIC와 동일한 시스템 기능을 갖추고 있다. 배터리 충전 및 연료 게이지 기능 외에도, 2개의 초고효율 벅 컨버터와 2개의 부하 스위치 및 LDO 전압 컨버터, 5개의 GPIO 3개의 LED 드라이버 등이 통합되어 있다.

 

또한, I2C 호환 TWI 인터페이스를 통해 1개 또는 2개의 버튼으로 작동하는 통합 하드 리셋 기능과 정밀 배터리 잔량 측정, 시스템 레벨 워치독, 전력손실 경고 및 부팅 실패 시 복구 등과 같은 다양한 첨단 시스템 관리 기능을 쉽게 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5개 이상의 개별 부품이 필요한 이러한 기능을 단일 칩에 통합함으로써 최종 제품의 BoM 또한 절감할 수 있다.

 

#노르딕#nPM1304#PMIC#

 
?

  1. ST- 메타렌즈, 신규 라이선스 계약 체결…“메타표면 광학 도입 가속화”

    - 컨슈머, 자동차 및 산업 시장 전반에 걸쳐 메타표면 광학 기술 확산 실현 - 본 계약 체결로 첨단 메타표면 광학 소자 생산을 위한 ST의 역량 확대 기대, 300mm 반도체 및 광학 제품 생산, 테스트, 품질 인증을 결합한 ST의 독보적 기술 및 제조 플랫폼 활용...
    Date2025.07.22 Bynewsit Views215
    Read More
  2. ST, 다양한 기능의 방사선 내성 ‘POL 컨버터’ 출시…“저궤도 애플리케이션 지원”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가 저궤도(LEO) 운용 환경에 적합한 POL 스텝다운 컨버터 LEOPOL1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LEOPOL1은 북미와 아시아, 유럽 전역으로 확장 중인 뉴 스페이스(New Space) 시장을 겨냥한 장비 개발자들의 요구사항에 맞춰 설계됐다. 민간 기...
    Date2025.07.18 Bynewsit Views251
    Read More
  3. 마우저, 넥스페리아의 차량 및 전기차용 ESD 보호 IC 공급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넥스페리아(Nexperia)의 최신 정전기 방전(ESD) 보호 IC인 PESD1ETH10L-Q/PESD1ETH10LS-Q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PESD1ETH10L-Q 및 PESD1ETH10LS-Q ESD 보호 다이오드는 오픈 얼라이언스 요건을 준수하여, 10BASE-T1S 차량용 이더넷 애플...
    Date2025.07.17 Bynewsit Views209
    Read More
  4. 노르딕, 퓨처 일렉트로닉스와 글로벌 유통 파트너십 체결

    노르딕 세미컨덕터는 퓨처 일렉트로닉스(Future Electronics)와 글로벌 유통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전 세계 고객들을 대상으로 노르딕의 제품 공급 채널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퓨처 일렉트로닉스는 노르딕의 글로벌 유통 파트너 그룹에 새롭...
    Date2025.07.16 Bynewsit Views358
    Read More
  5. TI, 폭스바겐 그룹 어워드 2025에서 ‘운영 우수상’ 수상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가 독일 볼프스부르크에서 개최된 ‘폭스바겐 그룹 어워드(Volkswagen Group Award) 2025’에서 ‘운영 우수상(Operational Excellence)’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TI의 견고한 반도체 공급 전략과 생산 역량 확대를 위한 선제적 투자가 ...
    Date2025.07.16 Bynewsit Views224
    Read More
  6. 지멘스, 국내 대표 연례 EDA 행사 ‘Siemens EDA Forum 2025’ 개최

    - AI와 실리콘 융합 시대 ‘시스템 기반·시스템 인식 설계’로 반도체 혁신 가속화 지멘스 EDA 사업부는 오늘 국내 대표 연례 EDA 행사인 ‘지멘스 EDA 포럼(Siemens EDA Forum) 2025’을 개최하고, 설계와 검증, 제조에 대한 통합적이고 전체적인 접근 방식을 소...
    Date2025.07.15 Bynewsit Views371
    Read More
  7. SK키파운드리-지멘스, 130nm 차량용 전력 반도체 공정 기반 ‘PERC PDK’ 출시

    - 아날로그 및 혼합 신호 반도체 설계 최적화, 웨이퍼 생산성 및 수율 향상 기대 - 지멘스 EDA와의 협력으로 공정 변동성 대응 강화, 차세대 공정 최적화 박차 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소프트웨어는 오늘 SK키파운드리가 한국지멘스 EDA 사업부와 협력해 국...
    Date2025.07.15 Bynewsit Views342
    Read More
  8. Ceva, 차세대 모션 제어 소프트웨어 솔루션 ‘모션 엔진 헥스’ 공개

    - 스마트 TV·게임·IoT 인터페이스에 정밀한 비접촉 공간 제어 구현 - UWB와 모션 센서 데이터를 융합한 6자유도(6-DOF) 모션 트래킹 및 직관적인 제어 구현 - 디지털 디스플레이의 상호작용 방식을 혁신하는 차세대 사용자 경험 제시 Ceva가 스마트 TV 및 커넥...
    Date2025.07.14 Bynewsit Views251
    Read More
  9. 엘앤에프-SK온, LFP 양극재 공급 업무협약 체결…북미 시장 진출 본격화

    - SK온과 북미향 LFP 양극재 공급 업무협약 체결, 물량 구체화 통한 중장기 공급계약 추진 - 중저가EV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용 LFP 수요 급증으로 LFP 양극재 생산 라인 확보 사활 - 탈중국 배터리 소재 공급망에서 한국이 유일한 대안, 수요에 따라 추가적...
    Date2025.07.11 Bynewsit Views168
    Read More
  10. 노르딕 세미컨덕터, 소형 배터리 제품용 고집적 PMIC 「nPM1304」 출시

    노르딕 세미컨덕터는 업계에서 검증된 자사의 PMIC 제품군인 nPM1300의 성공 공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nPM1304’ PMIC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nPM1304는 소형 배터리를 필요로 하는 공간 제약형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솔루션이다. 소형 배터리는 에너지 예산(...
    Date2025.07.10 Bynewsit Views17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85 Next
/ 8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