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업계 최초의 고속 단일칩 라이다(LiDAR) 레이저 드라이버로 개별 솔루션 대비 더 빠르고 정확하게 물체 감지 가능

- 벌크 탄성파(BAW) 기반의 새로운 고성능 자동차용 클록으로 기존 쿼츠 기반 클록 대비 100배 높은 신뢰성을 제공하며 더욱 안전한 작동 지원

- TI의 최신 밀리미터파(mmWave) 레이더 센서가 차량의 전방 및 코너 레이더 센서 기능 향상

 

TI, 차량용 칩 포트폴리오 「LMH13000」 출시…“차량의 자율성과 안전성 향상”.jpg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는 오늘 자동차 제조사가 다양한 차량에 자율주행 기능을 보다 폭넓게 도입하고, 차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자동차용 라이다(LiDAR), 클록 및 레이더 칩으로 구성된 새로운 포트폴리오를 출시했다.

 

이번에 발표한 TILMH13000은 업계 최초의 통합형 고속 라이다 레이저 드라이버로, 초고속 상승 시간을 제공하여 실시간 의사 결정 능력을 개선해준다. 또한, 업계 최초의 차량용 벌크 탄성파(BAW) 기반 클록인 CDC6C-Q1 오실레이터와 LMK3H0102-Q1, LMK3C0105-Q1 클록 생성기는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최근 진화하는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에 대한 요구 사항에 맞추어 출시된 TI의 최신 AWR2944P 밀리미터파(mmWave) 레이더 센서는 한층 강화된 전방 및 코너 레이더 성능을 제공한다.

 

TI ADAS 및 인포테인먼트 부문 총괄 매니저 안드레아스 셰퍼(Andreas Schaefer)“TI의 최신 차량용 아날로그 및 임베디드 프로세싱 제품은 자동차 제조업체가 현재의 안전 기준을 충족하는 동시에 충돌사고가 없는 미래를 더욱 빠르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해준다고 설명하고, “반도체 기술 혁신은 자동차 제조사가 생산하는 차량 전 라인업에 걸쳐 자율 주행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필요한 신뢰성, 정밀성, 통합성 및 경제성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30% 더 긴 거리 측정이 가능해 실시간 의사 결정 능력 향상

안전한 자율주행차의 미래를 위한 핵심 기술인 라이다는 운전자 주변 환경에 대한 상세한 3D 지도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차량은 장애물, 교통 및 도로 상황을 정확하게 감지하고 신속하게 반응하여 실시간 의사 결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I의 새로운 LMH13000은 업계 최초의 통합 고속 레이저 드라이버로, 800ps의 초고속 상승 시간을 제공하여 개별 솔루션보다 최대 30% 더 멀리 거리 측정이 가능하다. 특히, LVDS, CMOS TTL 제어 신호가 통합되어 있어 대형 커패시터나 추가 외부 회로가 불필요하다. 이러한 통합을 통해 시스템 비용은 평균 30%, 솔루션 크기는 1/4로 줄이며 설계 엔지니어가 더 많은 영역과 더 다양한 차량 모델에 작고 경제적인 라이다 모듈을 개별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라이다 기술이 더 높은 출력 전류를 요구하게 되면서, 온도에 따른 펄스 지속 시간에 큰 변화가 생겨 눈에 대한 안전 기준을 충족하기가 어려워진다. TILMH13000 레이저 드라이버는 섭씨 -40°C~125°C에 이르는 작동 온도 범위에서 최대 5A의 조절 가능한 출력 전류를 제공하면서도 변동 폭이 단 2% 밖에 되지 않는다. 반면, 개별 솔루션은 같은 조건에서 최대 30%의 변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디바이스의 짧은 펄스 폭 생성 및 정밀한 전류 제어 기능은 미국 FDA Class 1 수준의 눈 안전 기준에 부합한다.

 

업계 최초의 차량용 벌크 탄성파 (BAW) 기반 클록으로 신뢰성 높은 ADAS 설계

ADAS와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내의 전자 부품은 온도 변화, 진동, 전자파 간섭 (EMI) 등이 발생하는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해야만 한다. TI의 벌크 탄성파(BAW) 기술의 장점을 활용한 새로운 CDC6C-Q1 오실레이터, LMK3H0102-Q1, LMK3C0105-Q1 클록 생성기는 기존 쿼츠 기반 클록 대비 신뢰성이 100배 향상되어 FIT 비율이 0.3이다. 높은 클록 정밀도와 극한 환경에서도 내성이 높아서 차세대 차량 서브 시스템 전반에서 보다 안전한 작동하며 깨끗한 데이터 통신과 고속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

 

이와 함께 TI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자사의 AWR2944 플랫폼에 기반한 AWR2944P 전방 및 코너 레이더 센서도 공개했다. 이 레이더 센서는 감지 범위를 확대하고 각도 정확성을 개선하며 더욱 정교한 처리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차량 안전성을 강화해준다. 주요 개선 사항에는 신호 대 잡음 비율 (SNR) 향상 연산 기능 강화 메모리 용량 증가등이 있다.

 

#TI#BAW#ADAS#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94 키오시아 ‘엑서리아 플러스 G2 휴대용 SSD’, 2025년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제품 디자인 부문 수상 file newsit 2025.04.25 107
4093 엔비디아, 기업 생산성 강화하는 ‘네모 마이크로서비스’ 정식 출시 file newsit 2025.04.25 317
4092 사이냅소프트, ‘AI 엑스포 코리아 2025’ 참가…“최신 문서 AI 솔루션 공개” file newsit 2025.04.25 360
4091 플로우, “유일한 조달청 등록 협업툴로 공공시장 적극 공략” file newsit 2025.04.24 463
4090 엘앤에프, ‘산업단지 ESG+ 협의체’ 참여로 지속가능 경영 리더십 강화 file newsit 2025.04.24 192
4089 캐논코리아, 크리에이터 카메라의 새로운 기준 ‘EOS R50 V’ 공식 출시 file newsit 2025.04.24 100
4088 리앱 오픈소스 프로젝트, 오픈ELA 호환 시스템에 대한 인플레이스 업그레이드 제공 file newsit 2025.04.24 530
4087 슈나이더 일렉트릭, 차세대 전력 인프라 솔루션으로 전력 안정성 및 효율성 강화 선도 file newsit 2025.04.24 302
4086 이글루코퍼레이션, 데이터 분석 정확도 높이는 AI 특허 취득 file newsit 2025.04.24 127
4085 사이냅소프트, 감성 충전 AI 다이어리 앱 사이다(SAIDA) 출시 file newsit 2025.04.24 402
4084 알리바바 클라우드, 최신 오픈소스 영상 생성 모델 ‘Wan2.1-FLF2V-14B’ 공개 file newsit 2025.04.24 325
4083 마우저, 피닉스컨택트의 ‘카탄(Catan) C1 EN’ 빌딩 자동화 컨트롤러 공급 file newsit 2025.04.24 383
4082 파고네트웍스, AI 기반 통합 보안 플랫폼 ‘딥액트(DeepACT)’ 발표 file newsit 2025.04.24 127
4081 ams OSRAM, 초소형 칩 LED 출시…“인이어 기기에서 더욱 정확한 심박수 측정 지원” file newsit 2025.04.23 338
» TI, 차량용 칩 포트폴리오 「LMH13000」 출시…“차량의 자율성과 안전성 향상” file newsit 2025.04.23 411
4079 안랩, 2025년 1분기 피싱 문자 트렌드 보고서 발표…“공격 유형 1위는 기관 사칭” file newsit 2025.04.23 128
4078 Ceva, 넥스트칩(Nextchip)의 차세대 ADAS 솔루션에 에지 AI NPU 공급 file newsit 2025.04.23 395
4077 스틸시리즈, ‘롤링스톤 2025 오디오 어워즈’ 베스트 게이밍 헤드폰 및 게이밍 이어버드 2개 부문 수상 file newsit 2025.04.23 100
4076 하이크비전, 국제 사이버 보안 제품 인증 획득…“IoT 기기 보안 최고 권위 인정” file newsit 2025.04.23 131
4075 ST, xMemory 탑재한 자동차용 MCU 스텔라(Stellar) 출시…“혁신적 메모리 솔루션으로 미래 지향적 차세대 자동차 개발 지원” file newsit 2025.04.22 250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249 Next
/ 249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