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대 3.75메가와트(MW)의 충전 전력 지원. 일반적인 대형 트럭 배터리는 약 45분 이내에 80%까지 충전 가능

벡터, 메가와트 충전용 통신 컨트롤러(vSECC.MCS).jpg

벡터코리아는 오늘 메가와트 충전 시스템(MCS)을 위한 통신 컨트롤러인 ‘vSECC.MCS’의 양산에 들어갔다고 발표했다. vSECC.MCS컨트롤러는 MCS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는 충전 인프라 제조사(CIM)에 공급될 예정이다.

 

대형 상용 운송(HV) 산업이 전기화(Electrification)로 빠르게 전환됨에 따라, 기존 충전 방식보다 훨씬 더 높은 충전 용량이 필요해지고 있다. 메가와트 충전 시스템(MCS)은 법적으로 규정된 운전 휴식 시간과 같은 짧은 정차 시간 동안에, 대형 차량 배터리를 신속하게 충전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충전 지점과 차량 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 컨트롤러다.

 

vSECC.MCS는 약 1년간의 필드 테스트를 마친 후 시장에 출시되었다. 이 과정에서 테스트에 참여한 파일럿 고객들과의 협력을 통해 다양한 시스템 환경에서 실제 조건하에 제품을 시험했고, 고객 피드백을 바탕으로 제품을 더욱 정교하게 다듬었다. 최종 시제품은 전자기 적합성(EMC) 테스트도 성공적으로 통과하여, 양산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었으며 첫 출하는 2025년부터 시작한다. 

 

이 컨트롤러는 최대 3.75메가와트(MW)의 충전 전력을 지원한다. MCS를 활용하면, 일반적인 대형 트럭 배터리는 약 45분 이내에 80%까지 충전할 수 있다. 메가와트 충전은 일반적인 전기차 충전기보다 훨씬 높은 1,000킬로와트(1,000kW)의 전력으로 충전하는 것으로, 충전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국제 표준 ISO 15118-20 기반의 이더넷 통신을 사용하며, 커넥터 시스템은 IEC TS 63379 기술 사양을 따른다. 벡터의 vSECC.MCS는 메가와트 충전(MCS) 외에도 복합 충전 시스템(CCS)을 지원해 기존 차량과 바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위 호환성을 제공하며, 하나의 충전기에서 두 대의 차량을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기능도 갖추고 있다.

 

이 제품은 벡터의 검증된 CCS 결합 충전 시스템, AC와 DC 충전을 모두 지원하는 방식) 컨트롤러인 vSECC와 동일한 하드웨어 플랫폼 및 공통 펌웨어를 기반으로 기존 설계를 손쉽게 확장하고 새로운 MCS 시스템을 빠르게 개발할 수 있다.

 

벡터의 통신 컨트롤러 제품 매니저 오마르 아부 모하렙 박사(Dr. Omar Abu Mohareb)는 “vSECC.MCS는 실제 환경에서 검증된 통신 컨트롤러로서 양산 단계에 들어갔으며, 벡터는 견고한 통신, 원활한 시스템 통합, 빠른 시장 출시에 중점을 두고 개발을 진행했다”고 설명하고, “특히 파일럿 고객들과의 긴밀한 협업 덕분에 실제 시장 요구 사항에 맞는 제품으로 완성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vSECC.MCS는 벡터의 전기차 충전 인프라(E-Mobility Charging Infrastructure) 제품군의 하나로서, 충전소 및 월박스용 컨트롤러, 충전 및 부하 관리 시스템 vCharM, 그리고 원활한 통신 프로토콜용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 vSECClib 등 다양한 솔루션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제품군은 지능적이고 전력망 친화적인 충전 전략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벡터코리아는 오는 6월 3일(화)부터 5일(목)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EV 트렌드 코리아 2025(EV Trend Korea 2025)’ 전시회에 참가하며, 행사 참가자들은 벡터의 전기차 관련 기술을 직접 확인하고,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인사이트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벡터#전기차메가와트#충전용#컨트롤러#vSECC#MCS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69 티머니모빌리티, 업계 최초 'PCI-DSS' 최고 레벨 획득…‘생활밀착형 모빌리티 핀테크&플랫폼’ 최고 보안성 입증 file newsit 2025.06.04 69
4268 노르딕 세미컨덕터, 5G ‘NB-IoT’ 위성 데모 성공적으로 시연 file newsit 2025.06.04 257
4267 스노우플레이크 ‘코텍스 AISQL’ 및 ‘스노우컨버트 AI’ 공개… 자사 AI 분석 기능 강화 file newsit 2025.06.04 382
4266 마에스트로 포렌식, ‘디지털 포렌식 & 침해사고 포렌식 세미나’ 개최…“침해사고 대응 및 디지털 증거 분석” file newsit 2025.06.04 99
4265 로지텍, 무선 마우스·키보드 사용자 위한 ‘로지 볼트’ USB-C 리시버 출시…“유연한 업무 환경 지원” file newsit 2025.06.04 65
4264 MSI, 스테디셀러 메인보드 ‘MAG B850M 박격포’ 출시 file newsit 2025.05.31 68
4263 마우저, 마이크로칩의 PIC32A 고성능 32비트 마이크로컨트롤러 공급 file newsit 2025.05.30 262
4262 비트센싱, IKIO 테크놀로지스와 MOU 체결…“인도 뭄바이–뉴델리 고속도로 AI 기반 교통 모니터링 구축” file newsit 2025.05.30 279
4261 EDB코리아, 오픈소스DBMS 활용한 ‘불황 타개 위한 IT 전략’ 발표   file newsit 2025.05.30 305
4260 티피링크, 6.5Gbps 지원 와이파이7 공유기 「Archer BE400」 출시 file newsit 2025.05.30 113
4259 ST, 다채널 구성 가능한 자동차 드라이버 신제품 「L9026」 출시  file newsit 2025.05.30 275
4258 캐논코리아, 초소형·초경량 휴대용 프린터 「PIXMA TR160」 출시 file newsit 2025.05.30 62
» 벡터, 전기차 메가와트 충전용 통신 컨트롤러(vSECC.MCS) 출시 file newsit 2025.05.30 144
4256 알리바바 그룹–SAP, ‘AI 기반 디지털 전환 가속화’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file newsit 2025.05.29 340
4255 샌디스크, 콘텐츠 크리에이터용 스토리지 솔루션 ‘샌디스크 크리에이터 시리즈’ 국내 출시 file newsit 2025.05.29 65
4254 팔로알토 네트웍스 코리아, ‘60일 한시적 무상 악성코드 진단 서비스’ 발표 file newsit 2025.05.29 126
4253 NXP, ‘NTAG X DNA’ 시큐어 커넥티드 NFC 태그 발표 file newsit 2025.05.29 409
4252 엔비디아, 스웨덴 내 차세대 AI 인프라 구축 file newsit 2025.05.29 295
4251 크리테오, 글로벌 온라인 쇼핑 트렌드 보고서 발표…“76% 소비자, 온라인 쇼핑의 재미 부족하다고 응답” file newsit 2025.05.29 320
4250 세일즈포스, ‘에이전트포스 월드투어 코리아 2025’ 개최…“도입 사례부터 실습, 자격증까지… AI 에이전트 트렌드 집중 조명” file newsit 2025.05.29 314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249 Next
/ 249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