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ME 기반 통합 전력 관리로 선박 에너지 효율·안정성 강화

 

슈나이더 일렉트릭, 통합 전력 관리 시스템 ‘그린쉽 솔루션’으로 해운업계 친환경 혁신 가속화.jpg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선박의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탄소 배출을 저감할 수 있는 통합 전력 관리 시스템 ‘그린쉽(Green Ship) 솔루션’을 통해 해운업계의 친환경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최근 국제해사기구(IMO)의 탄소집약도지수(CII)에너지효율지수(EEXI) 등급제가 본격화되면서, 해운업계는 전력 사용 효율과 탄소 감축이 곧 경쟁력으로 직결되는 전환기를 맞이했다. 이에 따라 선박 전력의 흐름을 실시간으로 분석·제어할 수 있는 통합 관리 시스템의 도입 필요성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에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자사의 ‘에코스트럭처 파워 모니터링 엑스퍼트(EcoStruxure Power Monitoring Expert, PME)’를 기반으로 한 그린쉽 솔루션을 선보였다. 이 솔루션은 선박 내 디지털 계전기, 차단기, 미터, 온·습도 센서 등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실시간 시각화하여, 에너지 효율 향상·탄소 저감·전력 안정성 확보·규제 대응을 아우르는 포괄적 관리 체계를 구현한다.

 

특히 누설 전류 감지 및 조기 경보 기능을 통해 블랙아웃 등 전력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IMO DCS 보고용 데이터를 자동 생성하여 인적 오류와 행정 부담을 줄인다.

 

또한 ISO 50001·50002·50006 에너지 관리 인증IEC 62443 사이버보안 인증을 보유해, 데이터 신뢰성과 시스템 보안성 모두를 확보했다.

 

기존 설비와도 손쉽게 연동할 수 있어, 대규모 교체 없이도 그린쉽 솔루션을 도입할 수 있다는 점도 주목된다. 실제로 PME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적용한 선박은 CII 기준 에너지 사용량을 최대 50% 절감한 것으로 보고됐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또한 반응적 유지보수에서 예측 가능한 상태 기반 운영 체계로의 전환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고객은 설비 수명 연장과 운영 효율화를 실현할 수 있으며, 데이터 분석 기반 맞춤형 제안과 원격 기술 지원 서비스를 함께 제공받는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서비스 사업부 하승목 팀장은 “PME 기반의 그린쉽 솔루션은 스마트 UPS, 인버터 제어, 고효율 장비 기술을 결합해 최대 98%의 에너지 효율을 달성한다”고 설명하고, “전 세계 6,200명 이상의 현장 엔지니어와 430여 개 서비스 센터를 통해 해운 산업의 탄소중립 실현과 디지털 혁신을 지속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슈나이더일렉트릭 #그린쉽솔루션 #PME #에코스트럭처 #친환경선박 #탄소중립 #해운산업 #에너지관리 #디지털전환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914 HPE, 오크리지 국립연구소에 차세대 엑사스케일 슈퍼컴퓨터 ‘디스커버리’ 및 AI 클러스터 ‘럭스’ 구축 file newsit 2025.10.28 37
4913 티머니, 서울시 메트로9호선과 손잡고 ‘태그리스 결제’ 시범 서비스 추진 file newsit 2025.10.28 26
4912 사이버다임, ‘AI Assistant’ 출시…문서중앙화에 AI 결합으로 지식 활용 혁신 가속 file newsit 2025.10.28 45
4911 ST, 자동차용 MCU ‘SPC58’ 공급 보장 20년으로 확대 file newsit 2025.10.28 35
4910 레드햇, ‘레드햇 서밋 커넥트 서울 2025’ 성료...오픈소스 기반 혁신 전략과 AI 플랫폼 비전 공유 file newsit 2025.10.28 50
4909 데이터독, ‘데이터독 서밋 서울 2025’ 개최…AI 옵저버빌리티·보안 혁신 사례 공유 file newsit 2025.10.28 45
4908 티오리, AI 해커 ‘진트(Xint)’ 공식 공개…보안 점검 속도 30배 향상 file newsit 2025.10.28 21
4907 HS효성인포메이션, ‘VSP 원 오브젝트’로 오브젝트 스토리지 시장 리더십 입증 file newsit 2025.10.28 27
» 슈나이더 일렉트릭, ‘그린쉽 솔루션’으로 해운업계 탄소중립 가속화 file newsit 2025.10.28 38
4905 마우저, AI 기반 실시간 머신비전·사운드 솔루션 구현용 ‘아두이노 우노 Q’ 공급 시작 file newsit 2025.10.27 31
4904 노르딕 세미컨덕터, 멤폴트 기반 nRF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모바일 혁신 어워드 ‘클라우드 컴퓨팅 혁신상’ 수상 file newsit 2025.10.27 35
4903 티맥스티베로, 전 제품군 브랜드 아이덴티티 리뉴얼…AI 시대 데이터 혁신 기업으로 재도약 file newsit 2025.10.27 58
4902 다쏘시스템, 국내 최초 LCA·DPP Cofinity X 연계 프로젝트 수주 file newsit 2025.10.27 40
4901 Arm, Arm Flexible Access 통해 Armv9 플랫폼 접근 지원…엣지 AI 혁명 가속화 file newsit 2025.10.27 38
4900 레인보우로보틱스, 한국형 ARPA-H 1단계 과제 참여…의료용 이동형 양팔 로봇 개발 본격화 file newsit 2025.10.27 33
4899 오픈소스 혁신 플랫폼, ‘오픈소스 서밋 코리아 2025’ 서울 첫 개최 file newsit 2025.10.27 39
4898 오라클, 퓨전 애플리케이션용 'AI 에이전트 스튜디오' 확장 file newsit 2025.10.27 34
4897 티머니-서울시, 시내버스 태그리스 결제 시범 서비스 시작 file newsit 2025.10.27 27
4896 헥사곤, 핸드헬드 3D 스캐너 ‘아틀라스캔 프로’ 출시 file newsit 2025.10.27 37
4895 카스퍼스키, DLL 하이재킹 공격 2년 새 2배 증가…AI 기반 탐지 강화 file newsit 2025.10.27 2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49 Next
/ 249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