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가지 서비스형(aaS) 시나리오를 중점으로 조사

- 기업 대부분(98%), 데이터 보호 전략의 일환으로 서비스형 백업 및 재해복구 사용

- BaaS 공급자에 대한 경험과 신뢰 증가로 IT 조직 효율적 운영위해 백업 전문가에 위임 늘어

 

cloud-protection-trends_04.jpg

빔 소프트웨어가 대표적인 4가지 서비스형(aaS) 시나리오에 따른 ‘2023 클라우드 보호 트렌드 리포트(2023 Cloud Protection Trends Report)’를 발표했다.

 

2023 클라우드 보호 트렌드 리포트는 서비스형 인프라(IaaS), 서비스형 플랫폼(PaaS),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서비스형 백업 및 재해복구(BaaS/DRaaS)의 시나리오를 다루고 있다. 해당 보고서는 기업이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환경을 보호해야 할 필요성을 점차 인식하고 있으며 서비스형 백업 제공업체에 대한 경험과 신뢰 증가로 백업 담당 IT 조직이 효율적 운영을 위해 백업 전문가에 맡기고 있음을 시사한다.

 

설문에 응한 마이크로소프트 365 고객의 89%는 기본으로 제공되는 복구 기능에만 의존하지 않고 추가적인 복구 기능을 사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에 대한 가장 큰 이유는 랜섬웨어 대응을 포함한 사이버 공격에 대비한 신속한 복구였고 두 번째 이유는 규정 준수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는 클라우드 호스팅 워크로드의 30%클라우드 우선전략에서 비롯되었으며 새로운 IT 워크로드가 클라우드에서 활발하게 시작되고 있지만 응답자의 88%는 개발, 비용, 성능의 최적화, 재해 복구 등 여러 이유로 클라우드 워크로드를 다시 데이터 센터로 가져왔다고 강조했다.

 

또한, 해당 보고서는 랜섬웨어 대응을 포함한 사이버 보안이 주요 관심사가 되면서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각 워크로드의 소유자가 자체 데이터를 보호하기보다 백업 전문가에게 위임하는 등 데이터 보호 전략에도 큰 변화가 있었다고 밝혔다. 특히 클라우드 워크로드 백업의 대부분은 더 이상 전문 지식이나 클라우드 관리자의 추가 업무가 필요하지 않게 됐다고 밝혔다.

 

오늘날 기업의 98%가 데이터 보호 전략의 일환으로 서비스형 백업 및 재해복구를 사용하고 있다. 서비스형 재해복구는 비즈니스 연속성 및 재해복구(BCDR) 계획, 구현, 테스트에 대한 전문 지식을 제공하기 때문에 서비스형 백업보다 전략적 우위를 가질 수 있다. 고객은 비즈니스 통찰력, 기술 IT 복구 설계자, BCDR 전략 계획, 문서화에 대한 운영 지원을 기반으로 서비스형 백업 및 재해복구 공급자를 선택하기 때문에 공급자의 전문성이 주요 차별화 요인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58%가 서비스형 백업을 사용하고 있으며 42%는 자체 데이터 보호 솔루션의 일환으로 클라우드 저장소를 사용하고 있었다. 특히 절반에 가까운 기업(48%)은 자체 관리형 클라우드 스토리지로 시작해 결국 서비스형 백업으로 전환했다.

 

새로운 클라우드 호스팅 아키텍처에서 일부 서비스형 플랫폼 관리자는 클라우드 호스팅 서비스의 기본 내구성이 백업을 대체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실과 다르며 기업의 34%는 아직 클라우드 호스팅 파일 셰어를 백업하지 않고 있으며 15%는 클라우드 호스팅 데이터베이스를 백업하지 않았다.

 

대부분의 기업이 초기에 리프트 앤 시프트방식으로 서버를 데이터 센터에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로 이동시킨다. 기업의 76%는 클라우드 호스팅 서버 내에서 파일 서비스를 실행하고 56%AW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에서 관리되는 파일 셰어를 실행한다. 기업의 78%는 클라우드 호스팅 서버 내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실행하고 65%AW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에서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를 실행한다.

 

빔 소프트웨어 CTO 겸 제품 전략 수석 부사장 대니 앨런(Danny Allan)원격 작업과 하이브리드 작업 환경으로 대규모 전환이 이뤄짐에 따라 클라우드 기반 도구, 서비스를 도입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산업 전반에 걸쳐 하이브리드 IT, 데이터 보호 전략이 주목받고 있다고 밝히고, “사이버 보안 위협이 증가하면서 기업은 백업 서비스를 비즈니스 요구사항과 클라우드 전략에 가장 최적화된 방식으로 도입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이번 조사는 워크로드가 데이터 센터에서 클라우드로 이동 후 다시 데이터 센터로 이동하는 등 데이터 보호 전략이 상당히 복잡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많은 IT 기업에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있음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김기훈 빔 소프트웨어 코리아 지사장은 클라우드 전략이 활발한 한국 시장에서도 랜섬웨어 대응과 같은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형 백업 및 재해복구 사용도 늘고 있다"고 설명하고, "빔 소프트웨어는 최신 데이터 보호 솔루션 선두 기업으로 가트너가 6년 연속 선정한 백업 및 복구 시장 리더로서 고객에게 가장 현대적이고 전문화된 백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빔소프트웨어#클라우드#랜섬웨어

 

 
?

  1. 알리익스프레스, 국내 첫 고객센터 개설…“국내 소비자 대상 서비스 강화”

  2.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 동남아 우버 ‘그랩’과 합작사 설립

  3. 아크로니스, 김승일 마취통증의학과에 '아크로니스 사이버 프로텍트 클라우드' 공급

  4. 화웨이, ‘2022-2023 화웨이 ICT 경진대회’ 한국 참가자 모집

  5. SAP, SAP ‘테크에드’에서 혁신적인 신제품 대거 공개…“비즈니스 전문성 제고를 위한 SAP 빌드 출시”

  6. 인텔, 실시간 딥페이크 탐지 기술 공개

  7. 스틸시리즈, G-STAR 2022 브랜드존에서 다채로운 이벤트 개최

  8. 쏠리드, 차세대 O-RAN 제품에 ‘피코콤’ 채택  

  9. 노조미네트웍스, OT&IoT 보안 구독 모델 서비스 ‘Nozomi OnePass’ 발표

  10. ASML, 화성에 ‘New Campus’ 첫 삽…“국내 반도체 산업 협력 및 리소그라피 장비 심화 교육 강화”

  11. 노조미네트웍스, ‘SANS 2022 OT/ICS 사이버 보안 보고서’ 발표…“높아진 OT 사이버 위협에 기업 보안도 강화”

  12. 엔비디아 옴니버스, 우주 탐험으로의 새 지평 개척

  13. 쿤텍-ICTK홀딩스, 임베디드 시스템 보안 강화 업무협약 체결

  14. 가민코리아, ‘2022 윈터 세일’ 프로모션 이벤트  

  15. 빔 소프트웨어, <2023 클라우드 보호 트렌드 리포트> 발표…“기업 98%가 데이터 보호 전략으로 BaaS, DRaaS 사용”  

  16. 티맥스소프트, “3분기 매출액 260억, 영업이익 90억 달성”  

  17. 소니코리아, 고음질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 ‘링크버즈 S 어스 블루’ 국내 출시

  18. 투라인코드, 업그레이드 된 클라우드 네이티브 솔루션 ‘투라코(Turaco)’ 공개

  19. 팀뷰어, 구글 클라우드 마켓플레이스에 산업용 AR 플랫폼 '팀뷰어 프론트라인’ 등록

  20. NXP, 전기 차량용 AI 기반 클라우드 연결 배터리 관리 시스템(HVBMS) 개발

Board Pagination Prev 1 ...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 249 Next
/ 249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