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한 달여 간 수집한 피싱 이메일을 기반으로 주요 키워드’, ‘위협 유형’, ‘첨부파일 유형등 분석

- 주요 키워드 Top3: ‘회신(Re)’, ‘주문(order)’, ‘지불(payment)’ , 메일 수신자의 관심 유발해 메일 오픈 유도

- 위협 유형 Top3: ‘인포스틸러감염 시도 1, 뒤이어 가짜 페이지 노출’, ‘추가 악성코드 다운로드방식

- 첨부파일 유형 Top3: ‘압축 파일(‘.zip’ )’, ‘디스크 이미지 파일(.img/.iso )’, ‘스크립트 파일(.html )’순으로 근소한 차이 보이며 고르게 발생

 

안랩_최신 피싱 이메일 위협 동향.jpg

 

안랩이 이메일 송수신이 많아지는 연말연시를 맞아 최근 한 달여(2022.11.13~12.17)간 수집한 피싱 이메일을 분석해 최신 피싱 이메일 위협 트렌드를 발표했다.

 

최근 한 달여 간 피싱 이메일 공격자들이 가장 많이 활용한 키워드는 전체의 28.1%를 차지한 회신(Re)’으로 나타났다. 공격자들은 주로 이메일 제목의 말머리에 ‘Re’를 붙였다. 그 다음으로는 주문을 뜻하는 ‘Order’15.6%2위였으며, 지불을 뜻하는 ‘Payment’11.8%3위를 기록했다.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회신(Re)’의 경우, 수신자가 피싱메일을 이전에 오고갔던 대화의 연장인 것으로 착각할 수 있기 때문에 공격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뒤를 이은 주문지불은 국내와 해외를 가리지 않고 온라인 기반 금전거래가 많아지는 최근의 트렌드를 반영해 사용자의 주의를 끌기 위한 시도로 해석할 수 있다.

 

안랩 분석 결과, 피싱 이메일 공격으로 정보탈취 목적의 인포스틸러(Infostealer)’ 악성코드 감염을 시도하는 위협 유형이 전체의 3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이어서 첨부파일에 악성 스크립트를 포함해 정상페이지와 구분이 어려운 가짜 로그인 페이지를 띄우는 가짜 페이지(FakePage)’ 노출 유형이 23.6%, 첨부파일 실행 등으로 PC 감염 후 다른 악성코드를 추가로 내려받는 추가 악성코드 다운로드(Downloader)’유형이 17.1%3위를 기록했다.

 

1위로 집계된 인포스틸러(Infostealer)’의 경우,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 저장한 포털, 회사 시스템 접속 등 계정정보나 메일, 가상자산 지갑, 파일 등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광범위하게 탈취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금전피해를 불러올 수 있어 공격자들이 자주 사용하고 있다. 공격자는 인포스틸러나 가짜 페이지 공격으로 탈취한 계정 정보를 활용해 2차 공격을 진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를 속여 다운로더 악성코드를 감염시킨 후 랜섬웨어 등 다양한 악성코드를 추가 설치할 수도 있다.

 

공격자들이 사용하는 첨부파일의 종류에서는 .zip, .rar, .gz 압축 파일유형이 전체의 35.3%1위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img, .iso 등 확장자를 가진 디스크 이미지파일 유형이 26.2%로 뒤를 이었다. .html, .shtml, .htm, .vbs 등 확장자를 지닌 스크립트파일은 24.3%3위로 집계됐다.

 

특히 최근 공격자는 기업들이 실행 파일(.exe)이 첨부된 메일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스팸 메일 필터링 시스템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을 파악하고, 악성 실행 파일을 은닉하기 위해 압축 파일 형식이나 디스크 이미지 파일 형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공격자들은 스크립트 파일을 가짜 로그인 페이지를 노출시키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피싱 메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메일 발신자 등 꼼꼼히 확인 의심스러운 메일 내 첨부파일 및 URL 실행 금지 비밀번호 웹브라우저 저장 자제 및 비밀번호 주기적 변경 V3 등 백신 프로그램 최신버전 유지 및 피싱 사이트 차단 기능 활성화 사용중인 프로그램(운영체제/인터넷 브라우저/오피스 SW )의 최신버전 유지 및 보안 패치 적용 등 기본 보안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김건우 안랩 시큐리티대응센터(ASEC)장은 피싱 메일을 활용한 악성코드 유포나 정보 탈취 시도는 공격자들이 오랫동안 애용하고 있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그 수법이 더욱 고도화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출처가 불분명한 메일 속 URL과 첨부파일 실행을 하지 않는 등 보안수칙을 생활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랩#피싱#이메일#

 

 
?

  1. ADI, 씨잉 머신즈와 협업…“첨단 ADAS를 통한 주행 안전 강화”

  2. 콩가텍, 13세대 인텔 코어 프로세서 탑재 ‘컴퓨터 온 모듈’ 출시

  3. ST, 디지털 전력 기능 강화한 컨트롤러 「STNRG011A」 출시…“과부하 안정화 및 레귤레이션 지원”

  4. 엔비디아, 엔비디아 옴니버스로 메타버스에서 메르세데스 벤츠 차세대 공장 구상

  5. TIE, 군용무인체계 전문 자회사 '시프트 다이나믹스' 설립

  6. 벤큐, 에스씨지솔루션즈와 전자칠판 한국 총판 계약 체결

  7. [CES2023] 삼성전자, CES 2023서 모니터 신제품 대거 공개

  8. 오라클, 2023년 클라우드 전망 발표…“단일 클라우드 시대에서 분산형 클라우드 시대로”

  9. 멘로시큐리티, ‘웹 격리(RBI)’ 통한 인터넷 망분리 전략 제시

  10. AR글래스 '엔리얼 에어', 쿠팡 로켓배송 입점 통해 제품 만족감 극대화

  11. [CES2023] 다쏘시스템 CES2023 참가…“버추얼 트윈의 의료분야 및 모빌리티 산업에서의 활용방안 제시”

  12. 티피링크, 와이파이 6E 게이밍 공유기 「Archer AXE300」 출시

  13. 안랩, 임직원 대상 컴플라이언스 교육 실시…“컴플라이언스 준수 관리 체계 강화”

  14. 마우저, 센서 설계 리소스 사이트 공개

  15. 티맥스소프트-사쿠라정보시스템, 일본 금융권 디지털 전환 시장 공략

  16. 케이던스, EDA 성장을 이끌 신제품 4종 출시…“혁신적인 칩 설계로 반도체 산업 성장 가속화”

  17. 슈나이더 일렉트릭, 3개의 주요 ESG 지표에서 업계 최고의 성과 달성

  18. 안랩, ‘최신 피싱 이메일 위협 동향’ 발표  

  19. SAS, 2023년 데이터 분석 시장 전망 발표

  20. 삼성전자, 43형 대화면 게이밍 모니터 ‘오디세이 네오 G7’ 출시

Board Pagination Prev 1 ...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 249 Next
/ 249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