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 Form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온세미, 펜실베이니아 주립대와 미국 SiC연구 위한 MOU 체결.jpg

온세미(ON)는 실리콘 카바이드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와 800만 달러 규모의 전략적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협력을 통해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재료 연구 기관(MRI)에 온세미 실리콘 카바이드 크리스탈 센터(SiC3)가 설립되며, 온세미는 향후 10년간 매년 80만 달러의 자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실리콘 카바이드(SiC)는 전기차(EV), 전기차 충전 및 에너지 인프라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이며 세계 경제의 탈탄소화에 기여한다.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에 SiC에 대한 학술 연구가 크게 발전했지만, 이후 미국에서는 그 규모가 줄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미국 내 SiC 결정 연구가 다시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펜실베이니아 주립대와 온세미는 SiC3에서 SiC 연구 수행 외에도 반도체 산업에서 기술 일자리의 수요 증가에 대한 인식을 높인다. 이는 미국 반도체 제조 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또한 인턴십 및 협력 프로그램과 같은 인력 개발 이니셔티브에 협력하고, 펜실베이니아 주립대의 커리큘럼에 SiC 및 와이드 밴드갭 결정 연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펜실베이니아 주립대와의 관계는 소외된 지역사회의 초중고 학생 지원부터 현재와 미래의 인력 개발을 지원하는 대학 협력에 이르기까지 STEAM(과학, 기술, 공학, 예술 및 수학) 교육을 촉진하기 위한 온세미의 노력의 일환이다.

 

펜실베이니아 주립대의 연구부총장인 로라 바이스(Lora Weiss)는 펜실베이니아 주립대와 온세미의 협력이 각 기관의 입증된 강점을 고려할 때 완벽한 조화를 이룬다고 언급했다.

 

로라는 "온세미는 여러 시장에서 지속 가능한 솔루션을 구현하고 가속화할 수 있는 포괄적인 지능형 전력 및 센싱 기술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검증된 혁신 기업이다. 동시에 미국국립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의 연구비 지출 순위에 따르면, 펜실베이니아 주립대는 재료 과학 분야에서 1, 재료 공학 분야에서 2위를 차지한다. 우리는 반도체 및 기타 기술에 사용되는 박막, SiC 및 기타 재료에 대한 연구를 지원하는 세계적 수준의 나노팹 및 특성화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온세미와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간의 이러한 상호 보완적인 역량은 연구 및 개발, 경제 성장, 인력 개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

 

펜실베이니아 주립대는 온세미가 실리콘 결정 성장의 최첨단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이상적인 학술 파트너다.

 

온세미의 파워 솔루션 그룹 최고기술경영자(CTO)인 파벨 프로인드리히(Pavel Freundlich)"펜실베이니아 주립대는 SiC 결정 성장 연구 프로그램을 빠르게 구축할 수 있는 독보적인 위치에 있다. 이 대학은 현재 재료 연구, 나노팹 시설의 웨이퍼 처리 능력, 세계적 수준의 포괄적인 계측 기기 제품군을 기반으로 광범위한 역량을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온세미와 펜실베이니아 주립대의 관계는 사전 조사 기간 동안 발전했고, 이러한 협력에 대한 노력이 양쪽 기관 모두를 SiC 연구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게 했다.

 

펜실베이니아주립대의 부총장인 저스틴 슈왈츠(Justin Schwartz)"향후 10년 동안 이 협력을 통해 펜실베이니아주립대는 반도체 결정 과학 및 인력 개발에 대해 미국 최고의 자원이 될 것이라고 설명하고, “기업 및 산업 참여 담당 수석 이사인 프리야 바부(Priya Baboo)의 관계 구축 노력과 재료 과학 및 공학 교수인 조슈아 로빈슨(Joshua Robinson)의 기술 전문성, 그리고 온세미 관계자들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온세미의 대학 관계 담당 부사장인 스콧 앨런(Scott Allen)"펜실베이니아 주립대가 SiC 및 와이드밴드 갭 기술 전문 과정 제공을 위해 커리큘럼을 확장한 것은 온세미의 전략적 인력 개발 목표를 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최근 서명된 미국의 반도체 칩과 과학법(CHIPS and Science Act)에 명시된 미국 반도체 인력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온세미#SiC

 
?

  1.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2023년 2분기 실적 발표…“전년 대비 6% 증가한 66억3000만 달러 기록”  

  2. 온세미, 펜실베이니아 주립대와 SiC 연구 MOU 체결

  3. 화웨이, 차세대 스마트 안경 ‘화웨이 아이웨어’ 한국 정식 출시

  4. 인텔-SAP, 클라우드 역량 확대 위한 전략적 협력 발표

  5. 마우저,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8비트 AVR 마이크로컨트롤러  「AVR64EA」 제품 공급

  6. 포티넷, ‘2022 기술 격차 보고서(2022 Skills Gap Report)’ 발표

  7. 솔리다임, 데이터센터용 SSD 「D5-P5430」 출시…“총 소유 비용 최대 27% 절감”

  8.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KTL, 탄소 중립 및 디지털 전환 기술 사업제휴 협약

  9. ST, 엣지 AI 구동 2세대 마이크로프로세서 출시…”인더스트리 4.0 지원”

  10. 레노버, <Smarter Data Management Playbook 2023> 발표…“한국 CIO 96%, 비즈니스 우선순위로 지속가능성에 집중”

  11. 안랩, ‘Meta’ 사칭해 기업 페이스북 계정 노리는 피싱 메일 주의보

  12. ADI, 아일랜드 리머릭의 차세대 반도체 연구개발 및 제조 시설에 6억3천만 유로 투자

  13. 그린잇, 취향에 맞는 골프장 실시간 예약 플랫폼 ‘골라가’ 출시

  14. 캐논코리아, 컬러 디지털 상업 인쇄기 「imagePRESS V1350」 출시

  15. HP, 게이밍 노트북 신제품 ‘HP OMEN 16 Slim' 공개

  16. CEVA, 비지소닉스 공간 오디오 사업부 인수…“임베디드 시스템용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포트폴리오 확장”

  17. 캐논코리아, ‘EOS R8 트래블로거: 스위스 발레주 스케치’ 여행 출사단 모집 이벤트

  18. 퓨리오사AI, 과기정통부 주관 AI반도체 사업자 선정 결과 과반 이상 차지

  19. 마우저, 보안 애플리케이션용 인피니언 'OPTIGA Trust M' IoT 보안 개발 키트 제품 공급

  20. 소니코리아, 아이코닉스와 함께 ‘소니 X 잔망루피 몰입의 즐거움’ 캠페인 전개

Board Pagination Prev 1 ...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 249 Next
/ 249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