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성형 AI 지출, 기반 모델 개선과 AI 제품 수요 증가로 올해 6,440억 달러 전망

- 생성형 AI 도입 시 자체 개발 대신 상용 솔루션 활용에 집중할 것

- 하드웨어, 전체 생성형 AI 지출의 80% 차지“AI 지원 디바이스가 시장 성장 주도

 

가트너, “올해 전 세계 생성형 AI 지출 76.4_ 증가”.PNG

가트너는 2025년 전 세계 생성형 AI(GenAI) 지출이 전년 대비 76.4% 증가한 총 6,440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가트너 수석 VP 존 데이비드 러브록 애널리스트는 초기 개념 증명(PoC) 단계에서의 높은 실패율과 현재 생성형 AI 결과물에 대한 불만족으로 생성형 AI 기능에 대한 기대감이 낮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기반 모델 공급업체는 생성형 AI 모델의 규모, 성능,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매년 수십억 달러의 투자를 지속하고 있으며, 이러한 역설적인 현상은 2025년에 넘어 2026년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CIO들이 보다 예측 가능한 구현과 비즈니스 가치를 위해 맞춤형이 아닌 상용 솔루션을 선택할 가능성이 크며, 지난해부터 추진된 대규모 프로젝트가 주요 검토 대상에 오를 것이라고 설명하고, “모델 개선과는 별개로, CIOPoC와 자체 개발을 자제하고 기존 소프트웨어 공급업체의 생성형 AI 기능 활용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가트너는 2025년에는 모든 주요 시장 및 하위 시장에서 생성형 AI 지출이 대폭 증가할 것이며, 생성형 AIIT 지출 시장 전반에 걸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AI 기술이 점점 더 비즈니스 운영과 소비자 제품에 필수 요소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추가로 올해 생성형 AI 지출은 서버와 스마트폰, PC 등 하드웨어에 AI 기능이 통합되면서 크게 증가할 것이며, 전체 생성형 AI 지출의 80%가 하드웨어 부문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측했다.

 

러브록 수석 VP 애널리스트는 “AI 지원 디바이스의 보급 확대에 따라 시장 성장이 좌우될 것이며, 2028년까지 AI 지원 디바이스가 소비자 디바이스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는 소비자가 AI 기능을 적극적으로 요구한다기보다는 제조업체가 AI를 소비자 디바이스의 기본 기능으로 탑재하면서 소비자들이 이를 자연스럽게 구매하게 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가트너#생성형AI#AI#

 

 
?

  1. AWS, AWS 마켓플레이스 한국 확장…“국내 기술 기업의 글로벌 접근성 강화”

  2. 유아이패스, ‘유아이패스 테스트 클라우드’ 출시…“소프트웨어 품질 테스트에 AI 에이전트 활용”

  3. 태블로, '나라장터' 등록으로 공공기관 공급 시작…“공공부문 데이터 기반 행정 및 디지털 전환 가속화 기대”

  4. 가트너, “올해 전 세계 생성형 AI 지출 76.4% 증가”

  5. 티머니, 신설 분할 법인 ‘티머니모빌리티’ 출범…“더 편한 이동과 결제로 모두를 위한 모빌리티 생태계 실현”

  6. SAP, 독일 하노버 메세에서 제조 업계의 최선 이끌어 낼 AI 혁신 공개

  7. 알리바바 클라우드, 엔드투엔드 멀티모달 AI 모델 ‘Qwen2.5-Omni-7B’ 공개

  8. 안랩블록체인컴퍼니, 그라운드엑스와 블록체인 지갑 서비스 ‘클립(Klip)’ 사업 양수도 계약 체결

  9.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스파이런트의 ‘Lunar PNT 시뮬레이션’ 도입…“달 탐사 계획 지원”

  10. 델, 2025년 AI 기반 클라이언트 신제품 공개…“새로운 통합 브랜딩 적용”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203 Next
/ 203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