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의 옵저버빌리티와 보안 혁신을 주제로 국내 첫 커뮤니티 컨퍼런스 개최

 

데이터독, ‘서밋 서울 2025’ 개최…AI 옵저버빌리티·보안 혁신 사례 공유.jpg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및 보안 플랫폼 기업 데이터독(Datadog, NASDAQ: DDOG)이 지난 10월 24일 서울에서 ‘데이터독 서밋 서울 2025(Datadog Summit Seoul 2025)’를 개최하고, AI 시대의 옵저버빌리티(Observability) 및 보안 관련 최신 기술 트렌드와 국내 주요 고객 사례를 공유했다.

 

이번 행사는 아모레퍼시픽, GS리테일, KT, 크래프톤, 신세계인터내셔날, 콘텐츠웨이브, 티오더 등 주요 기업의 실무자와 전문가들이 참석해 실제 적용 경험과 성과를 발표했다. 서울에서 처음 열린 이번 서밋은 데이터독의 글로벌 순회 행사로, 옵저버빌리티·보안·AI 혁신을 논의하는 대표 커뮤니티 컨퍼런스다.

 

데이터독 공동 창업자이자 CTO인 알렉시스 르꾸옥(Alexis Lê-Quôc)은 기조연설에서 “풍부한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인프라, 모델, 에이전트를 효과적으로 관찰하고 보호할 수 있는 환경이 중요하다"고 설명하고, AI 기반 옵저버빌리티의 진화 방향과 기업이 이를 통해 운영 복잡성 완화와 보안 강화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했다.

 

또한, 데이터독 시니어 프로덕트 매니저 달짓 산두(Daljeet Sandu)는 최신 제품 업데이트를 소개하며, AI 옵저버빌리티를 통한 지능형 자동화와 통합 보안 운영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진 세션에서는 다양한 고객 사례가 발표됐다.

  • 아모레퍼시픽은 데이터독 기반의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AI 챗봇 신뢰성과 비용 최적화를 달성한 과정을 소개했다.

  • GS리테일은 DevSecOps 전환을 통해 운영 효율성과 보안 수준을 동시에 향상시킨 사례를 공유했다.

  • KTGPU 인프라의 AI 연구 환경 효율화를 위한 옵저버빌리티 체계를 구축한 경험을 발표했다.

  • 크래프톤은 데이터독을 통해 장애 대응 시간을 단축하고 협업 효율을 높인 사례를, 신세계인터내셔날은 RUM(Real User Monitoring)을 활용한 고객 행동 분석과 플랫폼 현대화 방안을 제시했다.

  • 콘텐츠웨이브는 오픈소스 대비 데이터독의 ROI와 DevSecOps 문화 정착 효과를 발표했으며, 티오더는 MCP(Model Context Protocol) 기반의 지능형 경보 체계 구축 사례를 공유했다.

데이터독 엄수창 한국 지사장은 “이번 첫 ‘데이터독 서밋 서울’은 국내 기업들이 AI 기술을 본격적으로 도입하는 시점에서, 관찰(Observability)·보안(Security)·대응(Response)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한 자리였다. 데이터독은 고객이 변화하는 AI 환경 속에서도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운영 탄력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혁신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데이터독은 인프라스트럭처, 애플리케이션, 로그, 사용자 경험, 클라우드 보안 등 전 영역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SaaS 기반 옵저버빌리티 및 보안 플랫폼으로, LG전자, CJ그룹, 대한항공, 쿠팡 등 국내 주요 기업이 사용 중이다.

 

#데이터독 #Datadog #서밋서울2025 #AI옵저버빌리티 #보안 #모니터링 #DevSecOps #클라우드 #Observability #Security #AI

?

  1. 아마존, 2031년까지 한국 클라우드 인프라에 7조 원 추가 투자

    - 글로벌 클라우드 사업자 국내 투자 계획 중 역대 최대 규모 - 2031년까지 국내 총 누적 투자 12조 6,000억 원 전망 아마존웹서비스(AWS)는 2025년부터 2031년까지 한국 내 AI 및 클라우드 기술 지원을 위해 데이터센터 인프라에 7조 원(미화 50억 달러)을 추...
    Date2025.10.29 Bynewsit Views22
    Read More
  2. 델, AI 성과 가속화 위한 ‘델 AI 데이터 플랫폼’ 대규모 업데이트 발표

    – 데이터 사일로 해소 및 실시간 인사이트 제공으로 AI 워크로드 최적화 – 엔비디아·엘라스틱·스타버스트와 협력해 데이터 엔진 기능 확장 델(Dell)이 AI 성과를 가속화하고 데이터 사일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델 AI 데이터 플랫폼(Dell AI Data Platform)’...
    Date2025.10.29 Bynewsit Views29
    Read More
  3. 데클라, 관세 불확실성 극복 위한 AI 기반 공급망 분석 플랫폼 공개

    - ‘글로벌 무역로 위험 계획 AI 플랫폼’ 통해 운영 리스크 정량화·무역로 재설계 지원 AI 기반 글로벌 공급망 의사결정 솔루션 기업 데클라(Decklar)가 미국의 관세 제도 개편으로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무역로별 위험 점수를 제공하는 ‘글로벌 무역로 위험...
    Date2025.10.29 Bynewsit Views30
    Read More
  4. HPE, 오크리지 국립연구소에 차세대 엑사스케일 슈퍼컴퓨터 ‘디스커버리’ 및 AI 클러스터 ‘럭스’ 구축

    - AI·HPC 융합시대 위한 GX5000 및 K3000 플랫폼 기반, 과학 연구·AI 혁신 가속 HPE는 미국 에너지부(DOE) 산하 오크리지 국립연구소(ORNL)에 차세대 엑사스케일 슈퍼컴퓨터 ‘디스커버리(Discovery)’와 AI 전용 클러스터 ‘럭스(Lux)’를 구축한다고 발표했다. ...
    Date2025.10.28 Bynewsit Views35
    Read More
  5. 사이버다임, ‘AI Assistant’ 출시…문서중앙화에 AI 결합으로 지식 활용 혁신 가속

    문서중앙화 및 데이터 보안 전문기업 사이버다임이 기업의 지식 활용 효율을 높이고 업무 혁신을 지원하는 AI 기반 기능 ‘AI Assistant’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선보인 AI Assistant는 중앙에 축적된 문서와 데이터를 AI가 자동으로 구조화해 검색·요약·...
    Date2025.10.28 Bynewsit Views44
    Read More
  6. 레드햇, ‘레드햇 서밋 커넥트 서울 2025’ 성료...오픈소스 기반 혁신 전략과 AI 플랫폼 비전 공유

    - 클라우드에서 생성형 AI 시대로 레드햇(Red Hat)은 오늘 <레드햇 서밋: 커넥트 서울 2025(Red Hat Summit: Connect Seoul 2025)>를 성황리에 마무리하고, 클라우드 네이티브와 생성형 AI 시대에 맞춰 오픈소스의 역할과 혁신 방향을 공유하는 자리였다고 밝...
    Date2025.10.28 Bynewsit Views45
    Read More
  7. 데이터독, ‘데이터독 서밋 서울 2025’ 개최…AI 옵저버빌리티·보안 혁신 사례 공유

    - AI 시대의 옵저버빌리티와 보안 혁신을 주제로 국내 첫 커뮤니티 컨퍼런스 개최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및 보안 플랫폼 기업 데이터독(Datadog, NASDAQ: DDOG)이 지난 10월 24일 서울에서 ‘데이터독 서밋 서울 2025(Datadog Summit Seoul 2025)’를 ...
    Date2025.10.28 Bynewsit Views42
    Read More
  8. 슈나이더 일렉트릭, ‘그린쉽 솔루션’으로 해운업계 탄소중립 가속화

    – PME 기반 통합 전력 관리로 선박 에너지 효율·안정성 강화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선박의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탄소 배출을 저감할 수 있는 통합 전력 관리 시스템 ‘그린쉽(Green Ship) 솔루션’을 통해 해운업계의 친환경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최근 ...
    Date2025.10.28 Bynewsit Views35
    Read More
  9. 티맥스티베로, 전 제품군 브랜드 아이덴티티 리뉴얼…AI 시대 데이터 혁신 기업으로 재도약

    – 새 BI 공개와 핵심 철학, AI 시대 데이터 전략 강화, 글로벌 확장 비전 티맥스티베로가 자사 대표 솔루션 티베로 DB(Tibero DB)를 포함한 전 제품군의 브랜드 아이덴티티(BI)를 전면 개편**했다. 이번 리브랜딩은 ‘연결·가치·확장’이라는 세 가지 핵심 철학...
    Date2025.10.27 Bynewsit Views53
    Read More
  10. 다쏘시스템, 국내 최초 LCA·DPP Cofinity X 연계 프로젝트 수주

    - 데이터 기반 협업으로 한국 기업의 글로벌 지속가능성 경쟁력 강화 국내 최초 LCA·DPP 통합 프로젝트 AI 버추얼 트윈 기업 다쏘시스템이 바이오소재 스타트업 마이셀(Mycel)과 함께 국내 최초로 LCA(전과정평가)와 DPP(디지털 제품여권)를 Cofinity X와 연계...
    Date2025.10.27 Bynewsit Views40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02 Next
/ 20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