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포함 아태지역 11개국(APAC-11) 디지털 경제 규모 20215,860억 달러, 203022,000억 달러 예상

- 2021년 한국 디지털 경제 규모 370억 달러로 잠재력 대비 17%에 머물러

- 규제 완화, 글로벌 기술 접근성, 기술 역량, 인프라 구축 등 4대 핵심 요소를 잠재력 실현 해법으로 제시

 

2021 APAC-11 디지털 경제에서의 실제 경제적 이익.png

아시아 지역의 디지털 경제 번영을 촉진하기 위해 혁신 디지털 기업들로 구성된 새로운 연합체인 디지털 번영 아시아 연합(Coalition for Digital Prosperity for Asia)이 오늘 한국에서 공식 출범했다.

 

DPA는 출범식에서 아시아 지역의 디지털 기술의 경제적 잠재력과 이로부터 각국 정부와 업계가 얻게 될 경제적 이익을 정량화 한 아태지역에서의 디지털 경제 원동력연구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글로벌 컨설팅사인 알파베타에 의뢰해 조사한 이 보고서에서 2021년 아태지역의 경제는 세계 총생산(GDP)37%를 차지했으며 이는 코로나19 이후 높은 인터넷 보급률, 구매력 증가, 역내 무역 확대로 급성장한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역내 11개 경제 강국 (APAC-11 - 한국, 일본, 호주,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파키스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2021년 디지털 경제 규모를 5,860억 달러로 추산하고, 2030년까지 22,000억 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각국 정부가 유연한 규제 정책과 글로벌 기술 접근 방식을 도입할 경우 31,000억 달러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DPA는 보고서를 통해 APAC-11이 지속적인 디지털 경제의 성장을 위해서는 디지털 정책 규제 완화, 기업의 경쟁력 강화, 정부와 기업, 소비자의 디지털 역량 향상, 그리고 디지털 연결, 클라우드, 보안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술의 인프라 확충 등 네 가지 지원 요소를 더욱 활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DPAAPAC-11이 네 가지 지원 요소에 집중함으로써 2030년에 추가적인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DPA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한국의 디지털 경제 규모는 370억 달러로, 시장 잠재력 2,220억 달러의 17%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싱가포르(63%), 일본(37%), 인도(34%), 호주(31%) 뿐 아니라 아시아 지역 전체 평균인 30%에 못 미치는 수치이다. 한편 한국의 2030년 디지털 경제 규모는 520억 달러로 전망됐다.

 

DPA는 한국은 디지털 경제의 네 가지 활성화 요소 중 디지털 역량과 디지털 기술의 인프라에서는 강세를 보이고 있지만, 디지털 성장의 잠재력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정부 정책과 기업의 경쟁력에서 개선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보고서는 APAC 지역에서 디지털 경제 규모를 2030년까지 22,000억 달러 규모로 확대하기 위해 ‘DPA의 디지털 번영 전략을 채택할 것을 촉구했는데, 유연한 규제, 글로벌 기술 접근성, 기술 역량, 인프라 기술 등 네 가지 요소를 포함하며, DPA는 이 네 가지를 조직의 비전과 미션으로 제시했다.

 

현재 DPA 참여 기업은 한국의 앱미디어를 비롯해 어크레디파이, 닥터투유, 키노비, Opn, 셰어챗, 사이버 리트머스, 코도모, 파운더스 독, 슬래브 등으로 APAC-11에서 보안, 게임,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영상, 문서 등 다양한 디지털 분야에서 참여 기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마이클 쿠(Michael Khoo) DPA 사무총장은 “DPA는 국가 간 데이터 흐름에 존재할 수 있는 장애를 최소화해 보다 개방된 디지털 경제를 촉진하면서, 적절한 데이터 관리 보호 장치를 보장하기 위한 지역 산업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히고, “아태지역 디지털 경제가 가진 잠재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업계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이를 통해 기업과 소비자가 최신 디지털 제품 및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각국 정부도 우선순위를 맞출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성훈 앱미디어 대표는 디지털 기술의 사용을 촉진하고 모든 이에게 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국가 정부 뿐 아니라 아시아 기업들과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기다린다고 밝히고,“ DPA의 새로운 출발에 함께 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하며, 이미 디지털 솔루션과 툴을 활용해 수많은 일자리가 창출되고 있기에 정부가 디지털 생태계를 육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해 줄 것을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DPA#

 

 
?

  1. EDB, 오픈소스 DBMS ‘포스트그레SQL 15’ 지원

    - EDB, 전 세계적으로 포스트그레(Postgres) 커뮤니티에서 가장 많은 기술자 및 개발자가 활동하여 PostgreSQL 성능을 개선하고 최신 기능 개발에 크게 기여 - MERGE SQL 명령(MERGE SQL command) 기능: 개발이 용이하도록 주요 DB개발 명령어 문구 제공, 상용...
    Date2022.10.18 Bynewsit Views36
    Read More
  2. 델, MS 애저 스택 HCI용 통합 시스템 신제품 출시…“MS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분야 협력 강화”

    - 델-MS, 고객이 통합형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전략으로 데이터가 어디에 있든 모든 지점에 일관된 클라우드 경험 누릴 수 있도록 협력 지속 -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스택 HCI를 위한 델 통합 시스템…싱글 노드 구성으로 상면은 줄이고, AI/ML워크로드 위한 성능...
    Date2022.10.18 Category클라우드 Bynewsit Views36
    Read More
  3. G-P, 에베레스트 그룹 선정 ‘EOR 업계 리더’

    - G-P의 제품 포트폴리오, 고객 서비스, 지리적 영향력, 기술 혁신 등을 포함한 다양한 측면에서 경쟁력 인정받아 글로벌 리모트 채용 플랫폼 G-P가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에베레스트 그룹(Everest Group)이 발표한 2022 피크 매트릭스 평가(PEAK Matrix Assess...
    Date2022.10.13 Bynewsit Views28
    Read More
  4.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APC UPS 구매 고객 대상 이벤트 진행

    - 10월 31일까지 공식 대리점 스마트 스토어 채널 통해 APC UPS 4종 판매 - 구매 고객 대상 GS25 1만원 기프티콘 증정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는 APC UPS 구매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최근 코로나 19로 인한 재택근무, 온라인수업 등이 활성화되면서, ...
    Date2022.10.13 Bynewsit Views26
    Read More
  5. 다쏘시스템, 「3D익스피리언스 웍스 2023」 발표…“클라우드 기반의 제조업 업무 혁신 지원”

    - 클라우드 기반 3D익스피리언스 웍스로 제조업, 기업 업무 프로세스 혁신 - 향후 통합된 환경에서 업무의 효율성과 정합성을 높여 제품의 빠른 출시 및 생산에 기여할 것 다쏘시스템은 클라우드 기반의 통합된 환경에서 제조업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내년에 ...
    Date2022.10.12 Bynewsit Views35
    Read More
  6. 오라클, 2022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 '제품 중심 기업 전용 클라우드 ERP 부문' 4회 연속 리더로 선정

    - 오라클 퓨전 클라우드 ERP, 제품 중심 클라우드 ERP 부문 내 ‘비전 완성도’ 및 ‘실행 능력’ 항목 최고 평가 획득 오라클은 ‘오라클 퓨전 클라우드 ERP’가 가트너가 최근 발표한 ‘2022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 제품 중심 기업 전용 클라우드 ERP’ 부문에서 4회 ...
    Date2022.10.12 Bynewsit Views37
    Read More
  7. 유튜브, ‘2022 유튜브 웍스 어워드’ 개최…세계 최초 미디어아트 전시

    - 가장 창의적이며, 혁신적이고, 효과적인 유튜브 광고를 선정하는 글로벌 디지털 영상 광고제, 2022 유튜브 웍스 어워드 10월 11일 수상작 공개 - 한국 개최 4회차를 맞이해 세계 최초 미디어 아트 전시회 <The Exhibition> 대중 공개 - 데이터 기반 객관적인...
    Date2022.10.11 Bynewsit Views28
    Read More
  8. 옴디아, ”챗봇 시장은 춘추전국시대”

    세계에서 가장 수익성이 높은 AI 비즈니스인 챗봇‧가상 디지털 비서 시장은 강력하고 다양한 기업들이 존재하는 시장으로 남을 전망이다. 옴디아(Omdia)는 최근 발표한 <챗봇과 가상 디지털 비서 2022: 시장 궤적과 예측(Chatbots & Virtual Digital Assistant...
    Date2022.10.11 Bynewsit Views31
    Read More
  9. DPA, ‘아태지역에서의 디지털 경제 원동력’ 연구조사 발표…“2030년 한국 디지털 경제 규모 약 520억 달러 전망”

    - 한국 포함 아태지역 11개국(APAC-11) 디지털 경제 규모 2021년 5,860억 달러, 2030년 2조 2,000억 달러 예상 - 2021년 한국 디지털 경제 규모 370억 달러로 잠재력 대비 17%에 머물러 - 규제 완화, 글로벌 기술 접근성, 기술 역량, 인프라 구축 등 4대 핵심 ...
    Date2022.10.11 Bynewsit Views42
    Read More
  10. 컴볼트, 백업 및 복구 솔루션 ‘컴볼트 소프트웨어 버전 11’ 조달청 디지털서비스몰 등록

    - 컴볼트, 조달청 디지털서비스몰에 Commvault Software Version 11 공식 등록 - 공식 파트너사 아이웍스 통해 공공 분야 공급 확대 박차 컴볼트는 오늘 백업 및 복구 소프트웨어인 ‘컴볼트 소프트웨어 버전 11(Commvault Software Version 11)’이 정부 조달청...
    Date2022.10.11 Bynewsit Views3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69 Next
/ 69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