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존 레이더 트랜시버의 시장 성공을 바탕으로 NXP 차세대 RFCMOS 레이더 트랜시버 생산 중

 

NXP, ADAS 및 자율주행용 2세대 77GHz RFCMOS 레이더 트랜시버 생산 발표.jpg

NXP반도체가 2세대 RFCMOS 레이더 트랜시버 제품군을 출시 생산한다.

 

TEF82xx는 시장에서 입증돼 이미 수천만 대가 출하된 TEF810x의 후속 모델이다. 빠른 처프(Chirp) 변조에 최적화된 이 장치는 계단식 고해상도 이미징 레이더를 포함한 단거리, 중거리 및 장거리 레이더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한다. 아울러 자동 비상 제동, 적응형 크루즈 컨트롤, 사각지대 모니터링, 통행 차량 경고 시스템, 자동 주차를 포함한 중요 안전 애플리케이션의 360도 감지를 지원한다.

 

레이더는 기존 자동차의 ADAS기능과 서비스형 모빌리티(MaaS) 애플리케이션에서 안전한 사용 사례를 위한 주요 감지 방법이 되고 있다. 특히 완전자율주행으로 가는 과정에서의 까다로운 사용 사례는 300m가 넘는 먼 거리에서도 볼 수 있도록 더 높은 무선주파수 성능이 필요하고, 작은 물체를 정확하게 감지, 분리, 분류하기 위해 정밀한 해상도가 필요한데, TEF82xx 레이더 트랜시버는 이 모든 것을 지원한다.

 

NXP의 확장 가능한 S32R 레이더 프로세서 제품군은 NXP TEF82xx RFCMOS 레이더 트랜시버와 결합해 프로덕션 레디 이미징 레이더 솔루션에 필요한 미세한 분해능력과 처리 능력, 범위를 제공한다.

 

완전히 통합된 RFCMOS 칩에는 송신기 3, 수신기 4, ADC 변환기, 위상 회전기, 저위상 잡음 전압 제어 발진기(VCO)가 포함되어 있다. NXP TEF82xx는 또한 MIPI-CSI2 LVDS를 위한 내장 안전 모니터와 외부 인터페이스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ISO26262 ASIL 레벨 B 표준을 준수한다.

 

NXP의 입증된 RFCMOS 기술 노드 및 프로덕션 설정을 기반으로 한 이 디바이스는 이전 세대에 비해 상당히 향상된 기능을 제공한다. +6 dB 위상 잡음 개선, -95 dBc/Hz 위상 잡음에서 14 dBm의 출력, 11.5 dB의 수신기 잡음 수치를 포함하여 RF 성능이 두 배 이상 향상됐다. TEF82xx는 노출된 다이가 있는 초소형 eWLB 패키지를 사용해 높은 주변 온도에서도 고성능 레이더 애플리케이션의 까다로운 열 조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최적의 열 전달을 지원한다. 특히 4µs의 짧은 처프 복귀 시간은 전원을 켜는 시간을 줄여 센서 전력 소비를 줄이고 처프 간격을 좁혀 속도 추정 능력을 높인다.

 

개발자는 가속기 소프트웨어를 수동으로 미세 조정하는 데 시간을 들이지 않고도 자동차용 레이더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RSDK)가 제공하는 포괄적인 레이더 알고리즘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구축하고 최적화할 수 있다. 엔지니어는 또한, 컴파일러, 개발 환경, MCAL, 무료 및 상용 RTOS 지원으로 구성된 NXP의 대규모 에코시스템을 활용해 더 빠른 개발에 필요한 리소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

 

NXPADAS 부문 부사장 겸 총괄인 슈테펜 슈파나겔(Steffen Spannagel)"고성능 S32R45 프로세서와 함께 캐스케이드된 4x NXP TEF82xx 레이더 트랜시버가 필요한 고성능 이미징 레이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OEM은 방위각 및 표고에 대한 하위 해상도로 최대 300m 이상의 범위를 달성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이미 TEF82xx를 기반으로 올해 말까지 생산 시작(SOP)을 목표로 최종 레이더 모듈 검증 단계에 있으며, 일부 자동차 OEM23년식과 24년식 모델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NXP#ADAS#S32R45#TEF82xx#RFCMOS#레이더#트랜시버

 
?

  1. 인피니언, 하이사이드 게이트 드라이버 EiceDRIVER 「2ED2410-EM」 출시

    - 첨단 자동차 전력 분배를 위한 새로운 와이어 보호 기능을 제공 최신 자동차는 수많은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을 갖추고 있다. 안전에 중요한 ADAS 애플리케이션은 오랜 시간 지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자율 주행 기능은 페일 오퍼...
    Date2022.10.04 Bynewsit Views327
    Read More
  2. NXP, ADAS 및 자율주행용 2세대 77GHz RFCMOS 레이더 트랜시버 생산 발표

    - 기존 레이더 트랜시버의 시장 성공을 바탕으로 NXP 차세대 RFCMOS 레이더 트랜시버 생산 중 NXP반도체가 2세대 RFCMOS 레이더 트랜시버 제품군을 출시 생산한다. TEF82xx는 시장에서 입증돼 이미 수천만 대가 출하된 TEF810x의 후속 모델이다. 빠른 처프(Chi...
    Date2022.10.04 Bynewsit Views359
    Read More
  3. 온세미, 온보드 충전기용 자동차용 전력 모듈 APM32 3종 출시

    - AMP32 시리즈 모듈, 모든 유형의 전기차에서 더욱 빠른 충전과 범위 확장 가능 온세미는 오늘 모든 유형의 전기차(xEV) 내에서 온보드 충전(OBC) 및 고전압(HV) DCDC 변환 장치를 위한 트랜스퍼 몰드 기술의 실리콘 카바이드(SiC)가 적용된 전력 모듈 3종을 ...
    Date2022.09.29 Bynewsit Views335
    Read More
  4. 마우저, 한국전자전(KES) 2022 참가…“고객 맞춤 서비스와 유용한 도구 공개”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오는 10월 4일(화) ~ 7일(금) 나흘 동안 삼성동 코엑스(A, B홀)에서 개최되는 한국전자전 2022(KES 2022)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마우저가 국내 전시회에 참여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전시회에서 마우저는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M...
    Date2022.09.28 Bynewsit Views331
    Read More
  5. NXP-일렉트로비트, 차세대 자동차 배터리 관리 시스템용 소프트웨어 개발 협력

    - 공동 개발 소프트웨어 통해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개발의 엔트리 레벨 비용 절감 - NXP의 고전압 BMS 레퍼런스 디자인(HVBMS RD)의 사용 편의성 향상 목표 NXP반도체가 차량 소프트웨어 기업 일렉트로비트(Elektrobit)와 협력해 NXP의 새로운 고전압 배터...
    Date2022.09.28 Bynewsit Views257
    Read More
  6. ST, 스텔라 P6 자동차용 MCU 출시…“전기자동차 플랫폼 시스템 통합 지원“

    - 탁월한 통합 기능으로 차세대 전기 드라이브트레인 및 도메인 중심 무선 업데이트 시스템 지원 - 업계 최초로 고속 데이터 전송률의 새로운 차량 내 통신 프로토콜 지원 - 스텔라(Stellar) 시리즈의 첫 번째 적합성 인증 MCU를 통해 자동차 산업의 소프트웨...
    Date2022.09.27 Bynewsit Views275
    Read More
  7. 옴디아, 반도체 시장 3분기 연속 매출 감소..."하락 추세 지속"  

    옴디아(Omdia)는 경쟁 전망 트래커(Competitive Landscape Tracker)을 통해서 2022년 2분기에 반도체 시장은 3분기 연속 매출 감소를 기록했으며 현재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2022년 2분기 매출은 2022년 1분기 매출 1,612억 달러(한화 약 225조원)에...
    Date2022.09.22 Bynewsit Views310
    Read More
  8. 바이코, '2022년 올해의 매사추세츠주 제조업체'로 선정

    바이코(Vicor)는 9월 16일 매사추세츠주 우스터에 위치한 폴라 파크(Polar Park)에서 제조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5월에 최초로 ChiP 파운드리를 확장한 후 바이코는 매사추세츠주 제조 분야의 선두 주자로 인정받은 것이다. 마이크 맥나마라(Mike McNamara) 바...
    Date2022.09.22 Bynewsit Views288
    Read More
  9. 비트센싱, 시리즈A 140억원 투자유치

    - 전략적 투자로 차세대 4D 이미징 레이더 솔루션 상용화 가속화 및 글로벌 사업 본격화 최첨단 이미징 레이더 솔루션 기업 비트센싱(bitsensing)이 140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에는 에이에프더블유파트너스, 아르게스 프라이빗에쿼티,...
    Date2022.09.21 Bynewsit Views320
    Read More
  10. NXP, 새로운 BTS7202 RX 프런트 엔드 모듈 및 BTS6403/6305 프리드라이버 발표

    - 출력 전력 향상, 선형성 개선, 노이즈 감소 통해 5G 통화 품질과 인터넷 속도 향상 NXP반도체가 채널당 최대 20W의 5G 매시브 MIMO를 위한 새로운 고전력 BTS7202 RX FEM 및 BTS6403/6305 프리드라이버를 발표했다. 이 장치는 NXP의 실리콘 게르마늄(SiGe) ...
    Date2022.09.19 Bynewsit Views281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 85 Next
/ 85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