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천 팹 통해 연간 100만 이상 SiC 웨이퍼 생산체제 구축

- 3년간 최대 1,000여명 국내 고용 확대 창출 전망

 

온세미 CEO 하산 엘 코우리(Hassane El-Khoury).JPG

지능형 전력 및 센싱 기술의 선도 기업 온세미가 오늘 경기도 부천시에 세계 최대 규모의 최첨단 실리콘 카바이드(SiC) 제조 시설을 완공했다고 발표했다.

 

해당 시설은 풀가동 시 연간 100만 이상의 200mm SiC 웨이퍼를 제조할 수 있다. 온세미는 SiC 제조 능력 향상을 위해 향후 3년간 최대 1,000여명의 국내 직원을 채용해 고도의 기술직에 대부분 충원할 계획이다. 이는 현재 약 2,300명의 인력보다 40% 이상 증가한 수치이다.

 

SiC 디바이스는 전기차(EV), 에너지 인프라, 고전력 전기차 충전기의 전력 변환에 필수 부품이다. 이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SiC 칩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당분간 수요가 공급을 넘을 전망이다. 온세미는 부천 팹 증설을 통해 추가 생산 능력에 대한 시급한 수요를 해결하여 고객에게 지속적인 공급을 보장하고 지능형 전력 솔루션 분야의 리더십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2022년 중반에 시작해 20239월까지, 새로운 첨단 150mm/200mm SiC 팹 라인의 건설과 동시에 첨단 유틸리티 건물, 인접 주차 건물 건설까지 완료하였다. 150 mm/200 mm SiC Epi와 웨이퍼 팹의 증설은 브라운필드 지역에서 수직적으로 통합된 SiC 제조 공급망 구축에 주력하는 온세미의 노력이다. 부천 SiC 라인은 150mm 웨이퍼 생산으로 시작해 2025200mm SiC 공정이 인증되면 200mm로 전환될 예정이다.

 

이번 준공식에는 염태영 경기도 경제부지사를 비롯해 조용익 부천시장, 국회의원, 김종흠 부천상공회의소 회장 등 고위급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온세미 CEO 하산 엘 코우리(Hassane El-Khoury)는 준공식에서 "부천의 150 mm/200 mm SiC 웨이퍼 팹은 완전히 통합된 SiC 공급망의 지속적인 성공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이를 통해 우리는 전 세계 전기화(electrification)의 가속화를 지원한다. 지난 5년은 부천 직원들이 거둔 뛰어난 성과를 확인하고, 보다 지속 가능한 미래라는 정부 기관과의 공동의 협력에서 이룰 수 있는 점들도 알아볼 수 있었다"고 밝혔다.

 

조용익 부천시장은 "온세미가 부천 SiC 웨이퍼 팹 증설을 위한 전략적 계획을 성실하면서도 빠르게 실행하는 모습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고 설명하고, “부천시는 기술 분야 신규 고용 창출은 물론, 전기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온세미#SiC#실리콘카바이드#

 
?

  1. IAR, 에지 임펄스와 파트너십 체결…“‘IAR 임베디드 워크벤치’에 에지 임펄스 플랫폼 통합”

  2. 마우저-마이크로칩, “8비트 마이크로컨트롤러의  간편성과 효율성 조명” 전자책 발간

  3. 유블럭스, 초소형 싱글 모드 ‘LTE Cat 1bis IoT’ 모듈 「LEXI-R10」 출시

  4. ST, X-CUBE-AWS-H5 확장 패키지 출시…“AWS IoT 코어에 STM32 기반 엣지 연결”

  5. 마우저, 물류창고 확장 및 첨단 자동화 시설 확충…“비즈니스 성장과 효율적인 고객 지원”

  6. 인피니언, GaN 시스템즈 인수 완료

  7. 스펙트럼 인스트루먼트, 최대 16개 채널과 GHz 속도 지원하는 디지타이저 시스템 출시

  8. 테스트웍스, ‘SEDEX 2023(2023 반도체대전)’ 참가…“AI 반도체 시험-검증 통합 관리 솔루션 국내 첫 공개”

  9. 온세미, 부천에 세계 최대규모 전력반도체 SiC 생산 시설 완공

  10. 마우저, TE 커넥티비티의 '하이보넥스' 파워튜브 커넥터 공급…“하이브리드 및 전기 자동차의 고전력 애플리케이션 지원”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85 Next
/ 85
CLOSE